The Return to Education and Sheepskin Effect in Kore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Workers

한국의 교육투자수익률 및 학위효과 : 남녀 비교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2001 (KLIPS 2001), this paper examines gender differences in the return to education in Korea. On averag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return to educ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However,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the impact of education on wages is greater for female workers compared to that for male workers using three different estimation strategies. First, a simple cohort analysis shows that the estimated returns to education for male and female workers have different patterns by age cohort and this is the main reason we observe little gap in average returns to education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we find that college degre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omen's labor market outcomes, while there is little gain for men in terms of wage levels by having college degree. Finally, when controlling unobservable individual ability level with test scores, educat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male workers' wage levels, while the impact of education on wages is considerably large for female workers. All three findings support that the impact of education on labor market outcomes is greater for female workers compared to that for male workers as many researchers have found in other OECD countries.

이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교육투자수익률을 추정하였다. Mincer 타입의 임금함수를 이용하여 평균적인 교육투자수익률을 추정해 본 결과, 남성과 여성의 교육투자수익률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남성의 수익률은 높아지고, 여성의 수익률은 낮아지는 현상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학위효과(sheepskin effect)를 추정해 보면, 대학 학위가 남성근로자의 임금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여성에게는 큰 임금상승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대학교육이 남성보다 여성의 임금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될 수 있다. 대학입학시험 성적 변수를 사용하여, 가능한 한 개인의 생산성 차이가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고, 교육이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에는 교육이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반면에, 여성의 경우 그 영향이 크고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발견들은, 교육수준이 여성의 임금수준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강하게 지지한다 하겠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 남녀를 구분하지 않거나 이 논문에서 남녀 간 평균 교육수익률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각종 원인에 의해 일부 왜곡된 것이며, 실제로는 여자가 더 높다는 것을 보인다. 또한 이는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OECD 국가의 경우와도 일치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