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se of Bryophyte in Greening Man-made Structures

선태식물을 이용한 인공구조물 녹화가능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6.29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primarily on the feasibility of applying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in modern urban environment. The study is based both on the role of bryophyte known in the process of the naturalization that life has come on the land and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yophyte.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lie in its desiccation-tolerance and poikilohydry that supports its enduring survival even under the despe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monitoring of applying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has shown us that bryophyte could control microclimate conditions, help to mitigate flood by reducing runoff, and lessen thermal conductivity, etc. The application of bryophyte to man-made structures has just started since 2002. Even though efforts to use bryophyte in greening man-made structures in Japan and Korea have resulted in both successes and failures, it is noticeable that there has been quite much technical progress in using this unique plant species.

Keywords

References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6), 서울시 온실가스 저감 목표 수립 및 이행계획 평가, p.56
  2.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 지침 수립 - 1차년도 보고서, pp.63-71
  3. 서울그린트러스트(2005), 서울 그린비전 2020 실천전략 - 그린을 통한 도시환경 혁신 요약보고서, pp.17-21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1), 서울시 도시 생태계의 장기모니터링 방안 연구, p.11. Sukopp, H.(1998), Scientific and practical Aspects. In Urban Ecology,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pp.3-16.에서 재인용
  5. 김현수(2003), 한국형 Green Roof System 개발을 위한 Prototype 제안,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No.3, Vol. 3, pp.3-11
  6. 장대희, 김현수, 이건호, 문수영(2005), 역지붕 녹화옥상시스템[KICT-GRS2004]의 우수유출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No.5, Vol. 2, pp.11-18
  7. 김인혜, 허무룡, 허근영(2005), 국내에 도입된 Sedum album L.의 생육 특성 및 저토심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No.33, Vol. 5, pp.69-82
  8. 장성완, 김동욱, 김동엽, 안원용, 한미라(2005), 모듈형 옥상녹화시스템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 옥상녹화연구회, 추계학술논문 발표회 논문집
  9. 허근영, 김인혜, 강호철(2003),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돌나물(Sedum sarmentosum)의 생육에 대한 인공배지의 종류, 토심 그리고 배수 형태의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No.31, Vol. 2, pp.102-112
  10. 김현수, 오충현, 신정섭, 장대희(2006), Extensive Green Roof System에 적합한 인공토양 및 식물 선정을 위한 실험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No.6, Vol. 2, pp.43-46
  11. 최희선, 김귀곤, 홍수영(2004), 도시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옥상녹화입지를 위한 목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No.32, Vol. 3, pp.18-31
  12. 김현규, 노태성, 신승훈(2005), 옥상녹화 후 모니터링을 통한 식물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No.5, pp. 55-62
  13. 이숙미, 심우경(1994), 도시의 벽면녹화를 위한 벽면식생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No.22 Vol. 1, pp.121-134
  14. 강호철, 김광호, 허근영(2005), 남부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상록벽면녹화 공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No.33, Vol. 2, pp.32-47
  15. 심경구, 허근영, 강호철(1999),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이용한 인공지반용 혼합배지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No.27, Vol. 3, pp.109-113
  16. 허근영, 심경구(2000), 인공지반의 녹화를 위해서 단용 또는 노지토양과 혼합하여 이용되는 인공토양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No.28, Vol. 2, pp.28-38
  17. 안원용, 김동엽(2001), 옥상녹화 후 인공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No.28, Vol. 6, pp.77-83
  18. 허근영, 김인혜, 강호철(2003a), 전게서, pp.102-112
  19. 허근영, 김인혜, 강호철(2003b),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기린초의 생육에 대한 인공배지의 종류, 토심 그리고 배수 형대의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No.31, Vol. 4, pp.90-100
  20. 김인혜, 허무룡, 허근영(2005), 전게서, pp.69-82
  21. 장성완, 김동욱, 김동엽, 안원용, 한미라(2005), 전게서
  22. 김현수, 오충현, 신정섭, 장대희(2006), 전게서, pp.43-46
  23. 김용규(2006), 이끼, 그 생명의 미학, LAnD: 조경.미학.디자인, pp.200-209
  24. 岩月善之助, 水谷正美腹 共著, 部新佐監修(1994), 原色日本蘚苔類圖鑑, 保育社, pp.1-13
  25. US Dept. of Interior National biological Service(1995), Our Living resources, Washington D.C., pp.197-200
  26. Oliver, M. J., J. Velten, and A. J. Wood(2000), Bryophyte as experimental models for the study of environmental stress tolerance: Tortula ruralis an desiccation=tolerance in mosses, Plant Ecology, No. 151, p. 74. Bewley, J. D.(1979), Physiological aspects of desiccation - tolerance, Ann. Rev. Plant Physiol. No. 30, pp.195 - 238. 재인용
  27. Alpert, P.(2005), The Limits and Frontiers of Desiccation - Tolerant Life, Integr. Comp. Biol., No. 45, p.686
  28. Proctor, M. C. F., R. Ligrone, and J. G. Duckett(2007), Desiccation Tolerance in the Moss Polytrichum formosum: Physiological and Fine-structural Changes during desiccation and Recovery, Annals of Botany, No.99, p.75
  29. Oliver M. J. , J. Velten, and B. D. Mishler(2005), Desiccation Tolerance in Bryophyte: A Reflection of the Primitive Strategy for Plant Survival in Dehydrating Habitats?, Integr. Comp. Biol., No. 45, p.789
  30. Marschall M. Michael C. F. Proctor(2004), Are Bryophytes shade Plants? Photosynthetic Light responses and Proportions of Chlorophyll a, Chlorophyll b and Total Carotenoids, Annals of Botany, No.94, p.603
  31. 이건호(2005), 도시인공지반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심포지움, 한국조경학회 산업기술연구회 학회지, pp.33-42
  32. 澤木昌典他(1998), 植物による$CO_{2}$固定と環境負荷低減に關する硏究 : スナゴケなどによる環境負荷低減. 21世期學會誌
  33. http://www2.big.or.jp/~moscatch/info.html#060907_02
  34. www.agri.pref.kanagawajp/chikusanken/jyouho/200607/
  35. (株)インタラクション/環境綠化新聞編(2003), Landscape & Greenary, Eco Green Tech catalog
  36. 장대희, 김현수, 이건호, 문수영(2006), Green Roof System의 다양한 성능 추구를 위한 공법 제시 및 성능 비교 실험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No.6, Vol. 2, pp.59-66
  37. Alpert, P.(2000), the cactus, the sunflower, and the moss, Plant Ecology, No. 151, p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