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by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위탁급식전문업체의 내부마케팅 전략에 관한 효과분석

  • Park, Hyeon-Suk (Dept. of Venture Management, Seoul University of Venture & Information)
  • 박현숙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벤처경영학과)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 clarify the current practice of internal marketing by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b)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internal marketing practice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2 and November 2, 2002 with the 10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6 large, and 4 small & medium sized compan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existed with the categories of internal marketing.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with the service education, sanitary education, periodic interviews, rewards for best employees, incentive payments, paid -leave allowances, job function allowances, and position classes including unit manager, dietician and cook of MBO. The actual administration of internal marketing strategie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with education, paid-leave, and employee welfare systems among position classes.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with all categories of internal marketing between large and small & medium sized companies. In general, small & medium sized companies score of the internal marketing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large sized companies. Therefore, the segmented internal market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analysis not only demand for employees but also the size of company, were required to be a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anaged contracted food management companies.

본 연구는 위탁급식전문업체의 내부마케팅 활동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현재 수행하고 있는 내부마케팅 전략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조사는 위탁급식전문업체 10곳(대기업 6곳, 중소기업 4곳)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12일부터 11월 2일까지 수행되었다. 내부마케팅 전략에 대한 효과 즉 중요도 및 수행도 조사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았으며 위탁급식전문업체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항목은 휴직제도와 고충처리제도였다. 내부마케팅 전략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직급(점장, 영양사, 조리사)에 따라 내부마케팅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서비스 교육과 위생교육, 정기면담제도, 우수사원 포상제도, 성과급지급, 휴일근무수당지급, 직책수당지급, MBO실시 항목에서 직급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기업규모에 따라서는 내부마케팅 유형중 휴가제도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유의적인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유형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부마케팅 세부항목중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외부위탁 교육후 실적반영, 병가, 권한위임에 대한 항목들이었고, 중요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중소기업 종사원들이 대기업 종사원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내부마케팅 유형 중 교육제도와 보상제도 부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내부마케팅 전략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마케팅 전략에 대한 수행도 분석 결과, 직급에 따라서는 내부마케팅 유형중 교육제도, 휴가제도, 보상제도, 복리후생제도 부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직급간의 수행도 인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점장, 조리사, 영양사군의 순으로 나타나 영양사군에서 수행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에 따라서는 내부마케팅 모든 유형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대기업에서 가장 수행도가 떨어지는 유형은 커뮤니케이션이었고, 중소기업은 복리후생 부분이었으며, 아직까지는 중소위탁급식전문업체가 대기업에 비해서 내부마케팅 전략의 수행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전문업체는 기업규모별로 종사원들의 특성에 따른 요구도를 분석하여 세분화된 내부마케팅 전략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