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irm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s

한국 벤처캐피탈의 조직상황적 특성, 인적자원 특성 및 투자전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Lee, Joo-Heon (Department of Business and Government, Yonsei University)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risk capital competing for deals in the korean entrepreneurial capital market. In the past, even though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ists did not have their distinctive competitive advantages, due to government support and subsidies, they could be survived in the market. However, the government controlled area has changed to a market driven area which emphasizes market forces and competition rather than support and protection. In order to be competitive,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 firms need to recruit high calibre professionals and build required financial skills for wise entrepreneurial investm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firm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venture capital firms. We can find that the asset size of venture capital fir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ize of their human resources. However, we can not find any relationship between firm characteristic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venture capitals. Even though we find some evidences among some variables, we need to interpret the results very carefully.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sputable interpretations and our understanding of this area.

창업자본시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위험자본들이 서로 경쟁하고 있다. 과거에는 국내 벤처캐피탈은 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으로 경쟁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동안 정부의 정책이 방향이 지원과보호에서 자율과 경쟁의 시장경제논리로 점차 바뀌어졌다. 국내 벤처캐피탈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지식과 기술을 축적하고 전략적 투자활동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점차 증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창업투자회사의 조직상황, 인적자본과 투자전략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규모는 인적자원의 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반면에 조직 상황적 특성은 투자전략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론 상관관계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몇몇 변수에 대해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관계의 검증과 명확한 해설을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