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학협력 패러다임 관점에서 본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조사 연구;전국 5개 창업대학원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viewed from New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Paradigm;The Case Study of 5 Government Supported Graduate Schools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 Kim, Jung-Ho (School of Venture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Min, Kyung-Se (Department of Accounting i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2.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新)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출발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자생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개 창업대학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창업대학원은 창업교육프로그램 결정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활성화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창업교육기관이 프로그램 개발과 과정에서 수요자(학습자, 지역사회, 기관)의 요구를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창업대학원에서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신신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을 적용토록 유도하여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관기관에 대한 역할 모형을 제시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상생의 협력이 가능한 유관기관을 선정할 수 있도록 기준과 역할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들이 신산학협력의 패러다임과 부합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들을 도출하고 창업교육에 효과적인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5개 창업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요 원칙이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entrepreneurial school which was drawn from the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and to suggest a role model for educational program for entrepreneurial school, in order to increase its self-generating ability. According to survey of 5 entrepreneurial schools, most of curriculums did not show a user-based. This indicates that series of processes, such as analyzing user's(learner, local community, institution) request and setting up the goal are not being conducted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liver the importance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of entrepreneurial schools and incite them to apply major principles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to their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continuous survival and development. This study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entrepreneurial school to examine whether the role model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coincides with the paradigm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Thus, this study has conducted two verifications as whole. First,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this study has drawn out the major principles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and considered effective applying method for it. Second, this study has analyzed overseas' cases for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and proved the propriety of major principles. Through theory and case studies, the study presented a role models for each subjects and provided necessity for applying major principles to entrepreneurial school's research on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