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 권홍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Kwon, Hong-J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J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고 있는 지구과학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야외 지질 학습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경험, 야외 지질 학습의 어려운 점과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구과학에서 야외 지질 학습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야외 지질 답사를 경험하였지만,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는 방법을 배운 교사는 많지 않았다. 교직에 들어와서 야외 지질 답사를 다녀본 경험이나 학생들을 인솔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한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으며, 가장 어려운 이유로 교사 자신의 경험 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직 교사 연수를 통한 야외 지질 학습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야외 지질 학습의 사전 활동으로 야외 지질 학습 장소의 지질학적인 소개나 설명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활동 중에는 교사의 안내와 학생들의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후 활동으로는 야외 지질 학습 결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The hundred and sixteen high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in the training for their promotion answered the questionnaire of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It was divided into five parts: needs and educational values, teachers' experien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desirable teaching methods of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important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ducational values of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Most of the beginning teachers had experience of geologic field trip, but did not learn how to teach it to their students during the geologic field trip in the pre-service training program. It was shown that only a few teachers had experience of geologic field trip and of teaching students in the outdoor of geologic fields after they became a classroom teacher. Most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eaching students about the geologic field trip is difficult because of lack of their experienc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teachers suggested that they need to learn how to teach the geologic field trip to students through their in-service training. leachers suggested that a desirable teaching method of the geologic field trip is to provide teachers with a teacher's manual including geological explanation and information about field trip sites before their visit so that they can scaffold it and facilitate the students' cooperative group activity during the field trip. As a follow up activity,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results should concu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현, 2002, 야외 학습 모듈을 이용한 제주도 송악산 일대 야외 학습장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2 p
  2. 김수민, 2000, 전북지역 중등과학교사의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p
  3. 김정수, 2000, 초등학교 자연 교과 중 지구과학 분야 야외 학습의 운영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8 p
  4. 김해경, 김정길, 장병주, 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3(2), 195-205
  5. 맹승호, 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탑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9-29
  6. 박선희, 2003, 지구과학 야외학습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6 p
  7. 박정웅, 전영호, 조후자, 이덕만, 2000, 눈을 돌리면 자연이 보인다-한탄강으로 떠나는 지질 탐사-. 시그마프레스, 서울, 176 p
  8. 박정웅, 조원주, 전영호, 맹승호, 박창용, 박정희, 2002, 지질답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지구과학교육연구회, 서울, 100 p
  9. 박종규, 1987, 야외 학습 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271, 41-48
  10. 박진홍, 2001,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7 p
  11.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도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13-21
  12.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신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3. 오경진, 조광희, 박상우, 박승재, 1999,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 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61-470
  14.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3
  15. 이문원, 1985,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626 p
  16. 전영호, 1996, 충북 영동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4 p
  17.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18. 지호선, 2004, 격포 지역의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4 p
  19. 최영산, 2001, 광주 지방의 중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2 p
  20. 홍정수, 장남기, 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85-92
  21. Kern, E.L. and Carpenter, J.R., 1984,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2, 299-305 https://doi.org/10.5408/0022-1368-32.5.299
  22.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https://doi.org/10.5408/0022-1368-43.2.128
  23.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 1097-1119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5
  24.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https://doi.org/10.5408/0022-1368-37.1.13
  25.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26. Orion, N., 2003, The outdoor as a central learning environment in the global science literacy Framework: From theory to practice.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OH, USA, 53-66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logical Field Study Sites in the Area of Igneous Rocks vol.34, pp.3,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74
  2.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ture-Study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vol.59, pp.1,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1.45
  3. Research on activation plan of National Geoparks through analysis on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Geoparks vol.52, pp.5, 2016, https://doi.org/10.14770/jgsk.2016.52.5.609
  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vol.39, pp.2,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2.178
  5. Exploring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vol.39, pp.3,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