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i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High School Science Class

고등학교 과학과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에 따른 효과

  • 최성봉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상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승민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주국영 (성수여자고등학교)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time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erms of learners' science academic knowledge achievement and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5). Second, the academic knowledge achievement of high ability students of two subgroups was not different (p>.05), but the achievement of low ability students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p<.05).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attitude toward scienc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ree areas of the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TOSRA) (p<.05): 'Adaptation of Scientific Attitudes',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and 'Career Interest in Sci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area of 'Attitude to Scientific Inquiry' and 'Leisure Interest in Sc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수업에서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였을 때,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가 학습자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첫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 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상위집단의 학생들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집단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적용시기를 달리한 수준별 수업은 매 차시 개념주제단위로 심화?보충과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단원 말에 심화 보충과정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5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1999,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7차 교육과정 연수자료, 서울, 164 p
  2. 김상달, 2006, 지구과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 부산, 350 p
  3. 김종숙, 2001, 과학 실험 수업에서 수준별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 p
  4. 김해진, 1999,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1 p
  5. 김혜현, 유정문, 2000, 심화 .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1(2), 103-115
  6. 박소영, 2001,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98 p
  7. 송호선, 2002, 심화 . 보충형 수준별 수업의 고등학교 과학교육에서의 적용효과: 광합성 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0 p
  8. 조수민, 1998, 열린교육의 수준별 중등과학학습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4 p
  9. 조영주, 2000, 수준별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p
  10. 최정임, 2003,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9 p
  11. 홍성희, 2001, 중1과학 동물의 구조와 생활 양식 단원에서 수준별 수업 모형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 p
  12. Allan, S.D., 1991, Ability-grouping research reviews; What do they say about grouping and the gifted? Educational Leadership, 48, 60-65
  13. Fraser, B.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Education, 62 (4), 509-515 https://doi.org/10.1002/sce.3730620411
  14. Slavin, R.E., 1990, Achievement of ability grouping in secondary school: A best-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471-499 https://doi.org/10.3102/00346543060003471
  15. Oakes, J., 1985, Keeping track: How schools structure inequal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31 p
  16. Oakes, J. and Lipton, M., 1990, Making the best of school: a handbook for parents, teachers, and policymaker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Opportunities, outcomes, and meaning. In Jackson, P.W. (Ed.). Handbook of research of curriculum, 570-608
  17. Versey, J., Fairbrother, R., Parkin, T., Bourne, J., Dye, A., and Watkinson, A., 1993, Differentiation: managing differentiated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E, 8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