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gs데이타베이스로부터 얻은 계통학적인 아미노산 치환행렬

A phylogenetic amino acid substitution matrix from Kogs database

  • 안희성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
  • 김상수 (숭실대학교 생명정보학과)
  • 발행 : 2007.03.31

초록

하나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는 가능성을 계통학적인 나무를 이용해서 치환행렬로 만들었다. PFMT(Phylogenetic Focused Mutaion Tendency)행렬은 기존의 PAM160이나 BLOSUM62와 다르게 공통조상으로부터 상위 종으로 치환되는 가능성을 점수화 하였다. COGs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152KOGs를 뽑아서 아미노산의 치환횟수를 점수화하였다. PFMT 행렬은 어떤 서열보다 더 상위 종의 서열을 비교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2개의 아미노산간의 치환 관계를 더 자세하게 볼 수 있게 한다.

Methods for making scoring matrix based on phylogenetic tree for all possible exchanges of one amino acid with another. PFMT(Phylogenetic focused Mutation Tendency) matrix is different BLOSUM62 and PAM160 which are the most used scoring matrixes. This matrix calculates possibility of substitution from common ancestor to high spices. PFMT matrix scores substitution frequency in COGs databases which contain 152 KOGs's dataset. PFMT matrix usefully is able to compare between query sequence and sequences of more higher species and show detailed substitution relation of 20 amino aci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