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edimentation Around Jetties in the West Coast: based on field measurement and hydrodynamic modeling

서해연안 돌제구조물 주위의 침퇴적 해석: 실측 및 수동역학 모델에 의한 초기추정

  • 서승원 (군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 ;
  • 유경선 (군산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공학과) ;
  • 이화영 (군산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A sedimentation analysis has been attempted to figure out sedimentation environment due to construction of coastal jetties, such as fish harbor dike, flow guided dike and jetty in shallow Kusipo area, in which tidal range marks up to 6.6 meters in spring tide. As an initial approach of understanding field measurement were done on several stations along reference lines with total station and photo analysis taken by remote controlled small air craft far one and half years. Also numerical tests were done by 2-D ADCIRC model considering dry-wet treatment to evaluate flow and bottom shear stress variations. According to direct measurement, deposition seems to be dominant on Kusipo beach. Model results show bottom shear stress lessens to $0.10{\sim}0.15\;N/m^2$ on most shadow zone of jetties and the inner zone is suffering sedimentation as a result of dike construction. However this is the first approach with limited analysis, thus it should be dealt further conside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ottom sediments in a complete sediment model on upcoming study.

대조시 조차가 6.6 m에 이르는 천해역인 전북 구시포 연안에 건설된 어항연육제방, 방류제 및 돌제 등 제방군 주위에서의 침퇴적을 이해하기 위한 초기의 연구가 시도되었다. 직접 해석방법으로 정선측량과 간이항공 측량에 의한 침퇴적 변화를 1년 6개월에 걸쳐 수행하였다.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제방 인접지역에서의 침퇴적 성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침수-노출을 고려한 2차원의 ADCIRC 모형을 적용하여 제방 건설 전후의 유속 및 해저응력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구시포어항 연육제방 부근 및 해수욕장 간사지는 퇴적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평가된다. 제방 건설로 유속이 둔화되고 shadow zone 등에서는 한계응력 이하로 급감하여 $0.10{\sim}0.15\;N/m^2$으로 변하며 퇴적성향으로 전이되는 것이 모델링 결과로부터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결과는 해저질의 물리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제한적인 초기의 평가에 따른 것으로 이어지는 연구의 상세 침퇴적 모델결과와 비교 검토되어 충실한 결과가 도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문승록 (2000). 조석환경변화를 고려한 목포항의 고극조위 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4), 203-209
  2.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4). 영광원자력발전소 방류제 및 돌제 공사로 인한 구시포 해수욕장 침퇴적 및 온배수 피해영향조사
  3. 김인호, 이정렬 (2004).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2), 108-119
  4. 서승원 (1998).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화(1)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0(1), 10-17
  5. 서승원 (1999). 3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한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수동역학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9(II-3), 375-387
  6. 서승원, 김정훈 (2003).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5(2), 97-107
  7. 서승원 (2003). 서해연안 돌제구조물 인근의 침퇴적 환경변화 해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초청 및 구두발표논문 초록집, 345
  8. 서승원, 유경선, 김준호 (2004). 서해연안 돌제구조물 인근의 침퇴적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5, 233-242
  9. 서승원, 유영칠 (2007). 돌제 구조물 주변 해저 전단응력의 변화모의. 2007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853
  10. 서종철 (2002). 원격탐사와 GIS 기법을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구지대의 지형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98-109
  11. 유경선 (2006). 고창해역 돌제구조물 주변의 유동변화와 침퇴적 현상 모의.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12. 윤성진, 김규한 (2007). 항내매몰을 고려한 방파제의 시공순서 검토,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1), 73-80
  13. 정지선, 이정렬, 김인호, 권혁민 (2004). 해안선 변화로부터 연안표사량의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4), 258-267
  14. 최병호, 이한수 (2003).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의한 황해 조류체계의 교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4, 143-153
  15. 태안군 (2005). 해안사구복원 학술용역 보고서. 서울대학교국토문제연구소
  16. Ari, H.A. et al. (2007). Determination and control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A case study. Ocean Engineering, 34, 219-233 https://doi.org/10.1016/j.oceaneng.2006.01.009
  17. Cuadrado, D.G., Gomez, E.A. and Ginsberg, S. (2005). Tidal and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associated to a coastal structur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2, 291-300 https://doi.org/10.1016/j.ecss.2004.09.010
  18. Geyer, W.R., Hills, P.S. and Kineke, G.C. (2004). The transport, transformation and dispersal of sediment by buoyant coastal flow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4, 927-949 https://doi.org/10.1016/j.csr.2004.02.006
  19. Klein, G.V. (1985). Intertidal flats and intertidal sand bodies in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 edtr. R.A.Davis, Jr., Springer-Verlag
  20. Luettich, R.A. and Westerink, J.J. (2000). ADCIRC, A(parallel) ADvanced CIRCulation model for oceanic, coastal and estuarine waters. User's Manual
  21. Prichard, D., Hogg, A.J. and Roberts, W. (2002) Morphological modelling of intertidal mudflats: the role of cross-shore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1887-1895
  22. Proosdij, D.V., Davidson-Arnott, R.G.D. and Ollerhead, J. (2006). Controls on spatial patterns of sediment deposition across a macro-tidal salt march surface over single tidal cycl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9, 64-86 https://doi.org/10.1016/j.ecss.2006.04.022
  23. Schramkowski, G.P. Schuttelaars, H.M. and de Swart, H.E. (2002). The effect of geometry and bottom friction on local bed forms in a tidal embayment,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1821-1833 https://doi.org/10.1016/S0278-4343(02)00040-7
  24. van de Kreeke, J., Hoogewoning, S.E. and Verlaan, M. (2002). An analytical model for the morphodynamics of a trench in the presence of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1811-1820 https://doi.org/10.1016/S0278-4343(02)00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