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Indoor Space and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실내 체적과 라돈 농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Kang, Sung-A (Center for Advanced Radiation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an, Dong-Hyun (Center for Advanced Radiation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Yeal (Center for Advanced Radiation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강성아 (전북대학교 공학연구원 첨단 방사선 응용연구센터) ;
  • 한동현 (전북대학교 공학연구원 첨단 방사선 응용연구센터) ;
  • 김종일 (전북대학교 공학연구원 첨단 방사선 응용연구센터)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corelation between the indoor volume and the measured radon concentration has been analyzed by comparing the radon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volume of apartment rooms in Jeonju City. We also measured the annual exposure dose based on the variation in indoor radon concentration over time. To do this, we took 8 larger rooms and 8 smaller rooms of apartment, respectively, as a sample. The average volume of the larger rooms and that of the smaller rooms were $31.59\;m^3$ and $16.82\;m^3$, respectively. The average radon concentration of the larger rooms and that of the smaller rooms turned out to be $71.73\;Bq/m^3$ and $108.51\;Eq/m^3$,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indoor volume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adon concentration, i.e., the bigger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volume, the higher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the measurement of the variation in indoor radon concentration over time fur a single day, the average intraday radon concentration variation was found to be about $46.8\;Bq/m^3$. The highest level of concentration ($114.5\;Bq/m^3$) was measured between 8 and 10 AM and the lowest level of concentration ($67.7\;Bq/m^3$) between 2 and 4 PM. The annual exposure dose turned out to be in the range of 0.3 mSv/yr to 2.16 mSv/yr, showing that the dose in some apartments exceeded 1.3 mSv/yr, the numerical value presented by the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전주시에 소재한 아파트의 큰 방과 작은 방을 대상으로 실내 체적과 측정되는 라돈 농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의 시간별 라돈 농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실내 라돈의 년간 피폭선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각 8개의 아파트 큰 방과 작은 방을 대상으로 라돈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큰 방의 평균 체적은 $31.59\;m^3$ 그리고 작은 방의 평균 체적은 $16.82\;m^3$이었다. 큰 방의 평균 라돈 농도는 $71.73\;Bq/m^3$, 작은 방의 평균 라돈 농도는 $108.51\;Bq/m^3$로 측정되어 실내 체적과 실내 라돈 농도는 반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밀폐된 실내 라돈 농도의 주 발생원이 건축자재임을 감안하여 건물 벽의 표면적을 체적으로 나누어 계측해 본 결과 표면적/체적의 비가 클수록 측정되는 실내 라돈 농도가 크게 나타났다. 실내 라돈 농도의 하루 중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 결과 오전 $8{\sim}10$시에 일 최고 농도($114.5\;Bq/m^3$)를 보였고, 오후 $2{\sim}4$시에 일 최저농도($67.7\;Bq/m^3$)를 나타냈으며, 하루 중 라돈 농도의 변화는 약 $46.8\;Bq/m^3$이었다. 8개 지점의 실내 라돈의 연간 피폭선량을 계산해 본 결과 0.3에서 2.16 mSv/yr사이로 나타나, 일부 아파트의 피폭선량이 국제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UNSCEAR)가 제시한 수치인 1.3 mSv/yr를 초과했다.

Keywords

References

  1. U.N.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source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1988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k
  2. U.S EPA(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A Cityzen's Guide to Radon. EPA. 1992; ANR-464,402-K-92-001
  3. Bethesda, MD. Exposure from the Uranium Series with Emphasis on Radon and Its Daughters. National Council on Rad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1984;NCRP Report NO. 77
  4. 김영준.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의 실내 라돈 농도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9
  5. KINS. 국민 방사선 위해도 평가 및 전국 실내 라돈방사능 조사, 전국 실내 라돈 농도 준위조사. 한국원자력기술원. 2001; KINS/GS-246
  6. Schildknecht CE. Dially1 and Related Polymers. in: John Wiley son. Encyclodin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1986;4:786-787
  7. Yocom JD. Indoor outdoor airquality relationship-A critical review. U.S. EPA. 1992;ANR-464, 4022-k-92-001
  8. Stranden, E. Building Materials as a Source of Indoor Radon and Its Decay Products in door Air. edited by W. W. Nazaroff and A. V. Nero, wiley Interscience 1988;113- 130
  9. 이동명, 김창규, 노병환, 이승환, 강희동. 대기 중 라돈 딸핵종 농도의 일일 및 계절적 변화와 기상인자가 미치는 영향. 방사선방어학회지 2000;25(4):207-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