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2004-2006년 6-10월 동안의 남해중부연안 해역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생태

  • 조은섭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이상용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상수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최윤석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study monitored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and provided an information to how Cochlodinium blooms have occurred. A total of sampling sites was 16 (Dukyang bay, Goheung, Yeoja bay, Gamak bay, Gwangyang bay, Yeosu, and Namhae). Temperature ranged from $19^{\circ}C\;to\;29^{\circ}C$, which all of sampling in Yeoja bay was the highest temperature of $27^{\circ}C\;and\;29^{\circ}C$ during summer. On June, July, September, and October did not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regardless of sampling sites. Yeoja and Gwangyang bays had 25-27 in salinity that was lower approximately 5-6 compared with other sampling sites. Chlorophyll had considerable fluctuations depending on sampling sites on July and October, in particular, Gwangyang bay was the highest value of $15{\mu}gl^{-1}$ that had five times as much as. Unlikely to temperature, salinity, and chlorophyll, transparency ranged from 2 m to 5 m regardless of sampling sites. Gwangyang bay was the highest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of $0.53mgl^{-1}$ on July and August that had ten times as much as, whereas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ing sites. On July, the correlation of DIN and chlorophyll was a negative that should extremely require DIN to grow phytoplankton, but was a positive liner on August. Mean cell number of phytoplankton reached to encounter a peak of 500 cells $ml^{-1}$ in July and August, which diatoms were dominant species and attained an abundance of >60% regardless of months. In August, the occurrence of dinoflagellates ranged from 20% to 30%. Skeletonema costatum, one of dominant speicies, was the highest occurrence to throughout sampling sites during 2004 to 2006. On the basis of cluster analysis for phytoplankton, they were distributed in all of sampling sites. Consequently, significant fluctuations of marine environments were shown in summer and S. costatum was regarded as the representive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In particular, the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ve occurred in Dukyang bay, Gamak bay, Goheung, Yeosu, and Namhae, but Yeoja and Gwangyang bays did not occur. The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occurring sampling sites and non-occurring in Cochlodinium blooms based on this study was DIN that was enough to persistently grow and maintain them even a litter dissolved in water. This suggests that Cochlodinium red tide seems to be occur in off waters.

이 연구는 남해안 중부해역의 여름철 전 후 단계를 나누어서 6월부터 10월까지의 2004-2006년 장기간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파악함과 아울러, Cochlodinium 적조발생에 관한 해석에 이용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해역은 득량만, 고흥연안, 여자만, 가막만, 광양만, 여수연안, 남해연안으로 총 16개 정점이다. 수온은 $19-29^{\circ}C$ 범위로 여름철 여자만에서 두 정점 모두 가장 높은 $29^{\circ}C,\;27^{\circ}C$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8월을 제외한 6월, 7월, 9월, 10월에는 조사정점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염분도는 7월과 8월에 여자만과 광양만에서 다른 조사해역에 비하여 약 5-6 정도 낮은 25-27를 나타내었다. 클로로필의 경우도 7월과 8월에 각 조사해역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광양만은 최고 5배 정도 많은 $15{\mu}gl^{-1}$까지 보였다. 투명도는 수온, 염분도, 클로로필과 다르게 조사기간 동안 해역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수준인 2-5m 정도로 보여주고 있다. 용존무기질소도 조사해역 중 광양만의 경우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0.53mgl^{-1}$까지 보여 10배 정도까지 차이를 보였으나, 용존무기인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용존무기질소와 클로로필의 관계를 보면 7월에는 임의 상관성을 보여 클로로필의 증가에 따른 용존무기질소가 급속히 소모됨을 알 수 있지만, 8월에는 거의 오히려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평균 세포수는 7월과 8월에 500 cells $ml^{-1}$까지 나타내었고, 대부분 규조류의 비율이 60% 이상 출현되었으나, 8월에 와편모조류의 점유율이 20-30%까지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Skeletonema costatum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전 해역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되었다. 각 해역별에 출현하는 식물 플라크톤의 집괴분석에 따르면 상호 혼잡되어 분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여름철에 가장 큰 해양환경 변화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중 S. costatum은 남해연안의 대표적인 기초생산 종으로 간주된다. 특히 여름철 Cochlodinium 적조는 득량, 가막, 고흥, 여수, 남해해역에서 3년 동안 계속해서 발생된 반면, 여자만과 광양만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뚜렷한 차이점은 용존무기질소 Cochlodinium 적조 형성을 위한 요구량은 수중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기보다는, 미량이라도 충분히 적조를 유발시키고, 외해역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뒷받침을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양호, 2003, 한국 남서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출현 및 분포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2, 1-17
  2. 윤양호, 1998, 완도 신지연안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 논문집, 12, 651-664
  3. 윤양호, 2001, 저수온기 목포연안해역의 해양환경학적 특성 1. 수질환경과 기초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17, 1-13
  4. Lee J. C., Kim J. Y., Chang S. D., 1984, Thermohaline structure of the shelf front in the Korea strait in early winter. J. Oceanol. Soc. Korea, 19, 39-46
  5. 김동수, 이길수, 김용주, 1995, 여수연안의 기상요인이 정치망 어장의 해황에 미치는 영향.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4, 31-39
  6. 김대일, 윤양호, 1997,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로 본 초겨울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6, 1-11
  7. 윤양호, 1998, 가막만 남부 화태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 129-144
  8. 윤양호,1999,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481-492
  9. 윤양호, 2000, 가막만 북서부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여수대학교 수산 과학연구소 연구보고, 7, 129-144
  10.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3, 43-50
  11. 윤양호, 박종식, 2000, 주성분분석에 의한 거금수도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변동 요인해석, 한국환경과학회지, 9, 1-11
  12. Shim J. H., 1980, Biological oceanography of the Gamagyang Bay-the Yeoja Bay water system (I), J. Oceanol. Soc. Korea, 15, 89-99
  13. 김미경, 박정원, 2004, 백야도 연안의 동계 해양환경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군집 분석 , Algae, 19, 247-255 https://doi.org/10.4490/ALGAE.2004.19.3.247
  14. 이영식, 유준, 권기영, 최용규, 조은섭, 2004,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증식 제한영양염이 시.공간적 변동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6, 890-895
  15.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군집, Algae, 15, 89-98
  16. 조은섭, 김정배, 안경호, 유준, 권정노, 정창수, 2006, 2004년 한국 남해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특성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 15, 539-562 https://doi.org/10.5322/JES.2006.15.6.539
  17. 김학균, 최우정, 정영균, 정창수, 박종수, 안경호, 백철인, 1999, 나로도 인근해역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발생과 환경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19-129
  18. 양재삼, 최현용, 정해진, 정주영, 박종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 연구: 1. 물리.화학적인 특성, 바다, 5, 16-26
  19. 최용규, 조은섭, 권기영, 이용화, 이영식, 2005, 2004년 7월 봇돌바다의 영양염과 Chlolrophyll-a의 단기변동, 14, 397-404 https://doi.org/10.5322/JES.2005.14.4.397
  20. 최용규, 조은섭, 이용화, 이영식, 2005, 2004년 7월 봇돌바다의 썰물, 전류 및 밀물시 수온과 염분 분포, 한국환경과학회지, 14, 167-175 https://doi.org/10.5322/JES.2005.14.2.167
  21. 최현용, 2001,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소멸과의 관계, 바다, 6, 49-62
  22. Kang Y. S., Kim H. G., Lim W. A., Lee C. K., Lee S. G., Kim S. Y., 2002, An unusual coast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1995 in the South Sea of Korea. J. Kor. Soc. Oceanogr., 37, 212-223
  23.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 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바다, 5, 27-36
  24. 임월애, 정창수, 이창규, 조용철,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2,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적조의 발생 특성, 바다, 7, 68-77
  25. Lee Y. S., Lee S. Y., 2006,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coastal areas of Korea, Mar. Poll. Bull., 52, 626-634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5.10.015
  26. Lee Y. S., 2006, Factors affecting outbreaks of high-density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s in the coastal seawaters around Yeosu and Tongyeong, Korea, Mar. Poll. Bull, 52, 1249-1259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6.02.024
  27. 정창수, 최우정, 김학균, 정영균, 김정배, 임월애, 1999, 1998년도 남해도 인근수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동물폴랑크톤의 분포 특성, 수진연구보고, 57, 153-161
  28. 해양수산부, 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 330pp
  29. 윤양호, 2000,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 429-436
  30. 김동명, 2005, 가막만의 COD 거동 및 분포 특성 평가를 위한 생태계 모델링, 한국환경과학회지, 14, 835-842 https://doi.org/10.5322/JES.2005.14.9.835
  31. Lehman P. W., 2000, The influence of climate on phytoplankton community biomass in San Francisco Bay Estuary. Limnol. Oceanogr., 45, 580-590 https://doi.org/10.4319/lo.2000.45.3.0580
  32. Eppley R. W., Renger E. H., Venrick E. L., Muffin M. M., 1973, A study of plankton dynamics and nutrient cycling in the central gyre of the north Pacific Ocean, Limnol. Oceanogr., 18, 534-551 https://doi.org/10.4319/lo.1973.18.4.0534
  33. Sakshaug E., Myklestad S., 1973,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ecology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bioassay experiments and parameters for the physiological state of the populations, J. Exp. Mar. Bio. Ecol., 11, 157-188 https://doi.org/10.1016/0022-0981(73)90053-1
  34. Levasseur M., Therriault J. C, 1987, Phytoplankton biomass and nutrient dynamics in a tidally induced upwelling: the role of the $NO_{3}:SiO_{4}$ ratio, Mar. Ecol. Prog. Ser., 39, 87-97 https://doi.org/10.3354/meps039087
  35. Solorzano L., Strickland J. D. H., 1968, Polyphosphate in sea water, Limnol. Oceanogr., 13, 515-518 https://doi.org/10.4319/lo.1968.13.3.0515
  36. 김형철, 이창규, 이삼근, 김학균, 박청길,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성장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 요인과 영양염 이용, 한국수산학회지, 34, 445-456
  37. 이창규, 김형철, 이삼근, 정창수, 김학균, 임월애, 2001,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 상황과 온도, 명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 536-544
  38. 이동섭, 1999,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바다, 4, 371-382
  39. Kang C. H., Kim P. J., Lee W. C., Lee P. Y., 1999, Nutrients and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C, N, and P in particulate matter in the coastal bay systems. J. Oceanol. Soc. Korea, 34, 86-94
  40. 임동일, 엄인권, 전수경, 유재명, 정회수, 2003,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지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바다, 8, 151-163
  41. 오석진, 윤양호, 김대일, Shimasaki Y., Oshima Y., Honjo T., 2006,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Dinophyceae)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 Algae, 21, 311-316 https://doi.org/10.4490/ALGAE.2006.21.3.311
  42. Imada N., Kobayashi K., Tahara K., Oshima Y., 1991, Production of an autoinhibitor by Skeletonema costatum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other phytoplankton, Nippon Suisan Gakkaishi, 57, 2285-2290 https://doi.org/10.2331/suisan.57.2285
  43. Imada N., Kobayashi K., Isomura K., Saito H., Kimura S., Tahara K., Oshima Y., 199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utoinhibitor producted by Skeletonema cosatum, Nippon Suisan Gakkaishi, 58, 1687-1692 https://doi.org/10.2331/suisan.58.1687
  44. Kondo K., Seike Y., Date Y., 1990, Red tides in brackish lake Nakanoumi (II): Relationships between the occurrence of Prorocentrum minimum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Bull. Plank. Soc. Japan, 37, 19-34
  45. Lim W. A., Kim H. G., Lee W. J., Lee S. S., 1993,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population growth of Scrippsiellat trochoidea a dino-flagellate responsible for a red tide. Bull. Kor. Fish. Soc., 26, 198-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