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뇨 환아에서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의 혈액 및 소변화학검사와 신기능 지표들의 비교

Comparison of Blood and Urine Renal Indices Between Hypercalciuric and Non-hypercalciuric Hematuria Patients

  • 이진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현승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근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필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경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동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Ji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Hyun-Se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ang, Pil-S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yung-Y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Dong-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7.10.31

초록

목 적 : 육안적 또는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24시간 소변화학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혈액 및 소변화학검사와 그로부터 계산된 각 용질의 배설량, 청소율, 분획배설 등에 있어서 두 군간에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하였다. 방 법 : 1997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10년간 가톨릭의대 의정부성모병원 소아과에서 육안 또는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24시간 소변검사를 시행한 환아 중, 단백질 배설량이 4 mg/$m^2$/시간 이상으로 단백뇨가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고, 소변 칼슘 배설량이 4 mg/kg/일 이상으로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 받은 30명과 소변 칼슘배설량이 3mg/kg/일 미만인 비고칼슘뇨군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액화학검사, 기본 소변검사, 24시간 소변화학검사로부터 각종 소변 용질의 배설량, 청소율, 분획배설 등을 구하여 두 군간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칼슘뇨군(30명)과 비고칼슘뇨군(41명)에서 육안적 혈뇨는 각각 24명(80%), 17명(42%)으로 고칼슘뇨군에서 육안적 혈뇨의 비가 높았다. 임의채취뇨의 Ca/Cr 비는 각각 $0.34{\pm}0.15,\;0.15{\pm}0.13$이었으며 고칼슘뇨군 30명 중 28명의 임의채취뇨 Ca/Cr 비는 0.2 이상이었고, 비고칼슘뇨군 41명 중 36명의 임의채취뇨 Ca/Cr 비가 0.2 미만이었다. 혈액화학검사에서 고칼슘뇨군과 비고칼슘뇨군의 혈청 칼슘은 각각 $9.8{\pm}0.5 mg/dL,\;9.5{\pm}0.5 mg/dL$로 고칼슘뇨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3). 24시간 소변의 칼슘농도는 각각 $14.7{\pm}7.7 mg/dL,\;3.3{\pm}2.2 mg/dL$로 고칼슘뇨군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칼슘배설량도 각각 $6.1{\pm}2.9 mg/kg/$일, $1.5{\pm}0.9 mg/kg/$일로 고 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크레아티닌 청소율로 구한 사구체여과율은 각각 $93.7{\pm}31 mL/min,\;79.5{\pm}32.0 mL/min$로 고칼슘뇨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8). 24시간 소변의 요소농도는 각각 $797{\pm}316 mg/dL,\;569{\pm}329 mg/dL$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15), 요소배설 량도 각각 $341 {\pm}102 mg/kg/$일, $233{\pm}123 mg/kg/$일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2). 나트륨 배설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나트륨 분획배설(FENa)은 각각 $1.0{\pm}0.4%,\;1.3{\pm}0.6%$로 고칼슘뇨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29). 소변배설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소변의 삼투질농도는 각각 $393{\pm}103 mOsm/kg\;H_2O,\;304{\pm}96 mOsm/kgH_2O$로 고칼슘뇨군에서 더 농축된 소변을 보았다(P=0.003). 결론 :고칼슘뇨군의 소변화학검사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요소 배설과 사구체여과율의 증가로서 이는 고칼슘뇨군이 비고칼슘뇨군에 비하여 고단백식이를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나트륨과 칼슘은 사구체 여과가 증가함에 따라 원위세뇨관 및 집합관에 도달하는 양도 증가하고 그 곳에서 나트륨의 재흡수 기전이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칼슘의 그 것은 그렇지 못하여 고칼슘뇨증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고칼슘뇨 환아를 진료함에 있어서 단백질 섭취 등식이 습관의 문진과 함께 식이요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hypercalciuria patients with hematuria show different renal indices compared to non-hypercalciuria patients with hematuria.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gross or microscopic hematuria whose blood chemistry and 24 hour urine chemistry were examined. After excluding the patients with more than $4 mg/m^2/day$ proteinuria or the patients with urinary calcium excretion between 3 and 4 mg/kg/day,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 hypercalciuria group whose calcium excretion was more than 4 mg/kg/day(n=30) and a non hypercalciuria group whose calcium excretion was less than 3 mg/kg/day(n=41). The urinary excretion, clearance, and fractional excretion(FE) of Na, K, Cl, Ca, P, urea, and creatinin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hypercalciuria group had more calcium excretion($6.1{\pm}2.9$ vs $1.5{\pm}0.9 mg/kg/day$), more urea excretion($341{\pm}102$ vs $233{\pm}123 mg/kg/day$), greater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93.7{\pm}31.1$ vs $79.5{\pm}32.0 mL/min$) but lower FENa($1.0{\pm}0.4%$ vs $1.3{\pm}0.6%$) than the nonhyper-calciuria group, although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greater urea excretion and GFR in hypercalciuric patients suggest that they might be on a higher protein diet than the non-hypercalciuria group. The increased glomerular filtration of sodium and calcium induced by the higher GFR in hypercalciuria would have increased their delivery to the distal tubule, where sodium is effectively reabsorbed but calcium is not, which is suggested by the lower FENa but higher FECa in hyercalciuria.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et of hematuria patients be reviewed in detail at initial presentation and during treat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