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요로감염에서 정상 세균총의 생후 획득 요인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Postnatal Acquisition Factors of the Normal Flora in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심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 이승주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Shim, Yoo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ee-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Seu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발행 : 2007.10.31

초록

목 적 : 정상 세균총은 숙주에 유익한 세균총으로 분만시 산도로부터 처음 획득되고 이후 모유등 식이요인에 의하여 발달되면서 생후 감염 예방에 관여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저자들은 요로감염 영아에서 정상 세균총의 생후 획득 요인들을 평가하고자 증례대조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 요로감염으로 입원하였던 12개월 이하의 영아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동일한 기간에 육아상담실을 방문하였던 비슷한 연령의 건강한 영아 11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조사 방법은 요로감염 영아에서 정상 세균총의 생후 획득 요인으로 알려진 질식분만율, 모유수유율, 생균제 복용 및 요구르트 섭취율 등을 조사하여 요로감염 발생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 과 : 요로감염군에서 질식분만율은 50%(58/115)로, 대조군의 60%(69/116)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수유 방법은 요로감염군에서 모유수유율 19%, 혼합수유율 26%, 분유수유율 55%로 대조군의 44%, 19%, 37%에 비하여 모유수유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모유수유는 6개월 미만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6개월 이상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생균제 복용율은 요로감염군에서 4%로 대조군의 28%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6개월 미만군과 6개월 이상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6개월 이상 영아의 요구르트 섭취율은 요로감염군에서 27%(6/22)로 대조군의 35%(8/23)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요로감염의 위험도 예측치는 모유수유가 6개월 미만 군에서 0.17(95% 신뢰구간 0.08-0.34)로 유의하게 낮았고(P<0.01), 생균제는 6개월 미만군과 이상군 모두에서 각각 0.02(95% 신뢰구간 0.06-0.07)와 0.04(95% 신뢰구간 0.01-0.38)로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결 론 : 요로감염 영아에서 모유수유, 생균제 복용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향후 모유, 생균제 및 발효식품 등의 식이요인이 정상세균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요로감염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normal flora, which was suggested to prevent infection, is acquired first from the birth canal and develops by dietary factors. Here presents a case-control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stnatal acquisition factors rela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normal flora in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UTI). Methods : 115 UTI infants, admit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2004 to 2005 and 116 age-matched control infants, who had visited well baby clinic, were evaluated. The suggested postnatal acquisition factors of the normal flora such as vaginal delivery, breast feeding, probiotics and yogurt intak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UTI were evaluated. Results : The rate of vaginal delivery was 50%(58/l15) in UTI infants,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60%(69/116) in control infants(P>0.05). In the infants with UTI, the feeding pattern(breast milk 19%, mixed 26%, formula 5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44%, 19%, 37%) in control infants(P<0.05). Thi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ly in infants less than 6 months of age, but was not in infants over 6 months of age. The rate of probiotics intake in UTI infants was 4%(4/115),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27% (32/116) in control infants(P<0.05). The rate of regular intake of yogurt in UTI infants over 6 months of age was 27%(6/23),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5%(8/23) in control infants(P>0.05). The odds ratios of breast feeding and probiotics intake against UTI were significantly low as 0.30 (95% Cl 0.17-0.55)(P<0.01) and 0.03 (95% Cl 0.01-0.07)(P<0.01). Conclusion : The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breast feeding and probiotics intake in UTI infants suggest that these dietary factors might have preventive effects in infants with UTI.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