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력취득 설문지를 이용한 야뇨증의 형태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y Types of Enuresis in Children Utilizing Questionnaires

  • 최정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용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Choi, Jung-Youn (Department of Pediatrics,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Yo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7.10.31

초록

목 적 : 소아과 외래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인 야뇨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의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한정된 외래진료 시간에 병력 청취가 쉽지는 않기 때문에 설문지를 이용하여 야뇨증 환아를 단일 증상 야뇨증군과 비단일증상 야뇨증군으로 분류하고 임상양상등을 비교하여 야뇨증의 병형별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야뇨증의 진단이후 첫 내원시 보호자의 동의하에 약물치료 전 약 2-3주의 야뇨일지를 관찰하는 동안 보호자가 환아의 배뇨 습관, 과거력, 치료에 대한 부모와 어린이의 자세 등을 포함한 설문지에 응답을 하여 설문지를 통한 병력청취가 이루어졌고, 이후 지속적인 치료 및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34명의 야뇨증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단일 증상성 야뇨증 환아는 21명, 비단일 증상성 환아는 13명이었으며, 발달 지연이 있었던 환아는 없었다. 환아 출생 시 분만법, 제대일수, 출생 시 체중, 형제 순서, 잠버릇, 변비, 치료성적에 따른 두 군의 차이는 없었다. 요로 감염의 빈도는 비단일 증상군에서 많았으며, 낮 동안 배뇨빈도와 알러지 병력은 비단일 증상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 야뇨증 환아의 부모는 병원방문 전 전문 치료 방법으로 한방치료를 52.9%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나 67.6%에서 효과가 없거나 빈도는 줄었지만 여전히 야뇨가 있다고 하였다. 결 론 : 병력 청취 설문지를 이용한 단일 증상군과 비단일증상군의 비교는 야뇨증 환아의 세부적 진단에 도움이 되며, 치료 방침을 결정하고 치료성적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병원 방문 전 전문 치료로 한방 치료가 많이 선택되고 있어 부모들을 대상으로 야뇨증의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It is important to take a precise history of patients to diagnose enuresis.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perform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because the consultation time is limited. So by taking the medical histories with questionnaires, we classified the enuresis patients into monosymptomatic and non-monosymptomatic groups and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is would ai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nuresis. Methods : Thirty-four enuresis patients seen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2004 January to 2005 Ju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o to three weeks before starting medical treatment, questionnaires about the patients' urination habits and past medical history were taken from the Parents with consents. Results : There were 21 patients in the monosymptomatic group and 13 patients in the non-monosymptomatic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livery mode, birth weight, birth order, sleep habit, constipation, and treatmen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Urinary infec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non-monosymptomatic group.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daytime incontinence and a past medical history of allergy in the non-monosymptomatic group. Oriental medicine was the most common treatment of enuresis before visiting the hospital, but the treatment effect was minimal. Conclusion : Comparison between the monosymptomatic and non-monosymptomatic group with the questionnaires was helpful for detail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enuresis. A more effective education for enuresis patients is needed, since before visiting the hospital many of them wasted their efforts with ineffectiv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7;11:264-27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