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Statu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s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in Nationwide

우리나라 도계장 수거계육의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조사

  • Woo, Yong-Ku (Department of Laboratory Animal Medicine, Korea Bio Polytechnic College)
  • 우용구 (한국폴리텍 바이오대학 의생명동물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hygienic status of chicken meats on the microbial levels, which were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located in the local provinces in nationwide including the JeJu island (n=15) in 1997. In particular, Salmonella spp., Campylobacter jejuni, and Listeria monocytogenes, which were ret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tero-pathogens relating to food home illness from poultry, were investigated on their isolation frequency including the other pathogens related on the food-borne illness. A total of 115 processed chickens were submitted on the present study. In general, the bacterial contamination frequency showed more or less lower $(10{\sim}100 cells)$ than those of sold on the retail and super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because of lacking of cross-contamination incidences, depending on the total cells, Coliforms and Staphylococcal cells count. While, Salmonella species,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and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equency of chicken meats from slaughter houses were 58.3%, 37.4%, 43.5%, and 30.4%, in order. But the present microbial isolation data were a little lower levels than those of sold on the retail and super markets and famous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t the same period. It seemed that the cross-contamination problems (including the human, environmental and instrumental factors) during the marketing stage (after the last processing procedure; rinsing step) had the major roles on the increasing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frequency on the chicken meats after the slaughter houses.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규모로 15개 시 도에 위치한 도계장에서 직접 수거한 도계육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도 조사로서 총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포도상구균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특히 주요 인수공통 병원성 세균들인 Salmonella 속균과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E. coli O157:H7 균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도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처리를 위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인 염소(20mg/L포함)를 첨가한 염소수로서 수세한 처리계육과 그렇지 않은 비처리 도계육 상호간에 대해서도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과 기타 균종의 억제효과에 대해서도 비교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로서 강원지역을 비롯한 전국 6개 시 도의 도계장 유래 계육에 대해서 세균오염도의 비교조사에서는 포도상구균수, 대장균군수 및 총세균수의 순서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 성적은 시판계육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보다는 $10{\sim}100$배 이상 낮은 오염도 성적이었다. 그리고 동일계육에 대한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은 63.3%(19/30)였고, S. enteritidix (33.3%)가 가장 지배적인 혈청형이었으며, 동시에 S. typhimurium (3.3%), S. muenchen (30.0%)도 분리되었다. 하편, 염소수로 세척한 도계육은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수의 비교조사에서 비처리 계육보다도 약 100배정도로 균수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포도상구균수에서는 양자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알았다. 또한 Salmonella 속균에 대한 억제효과의 비교조사에서도 20 ppm의 염소처리로서는 포도상구균과 마찬가지로 Salmonella 속균에 대해서도 뚜렷한 억제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보다 확대된 규모의 조사결과에서 제주도를 포함한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전남, 광주, 전북, 충남, 대전, 충북, 강원,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을 포함하여 총 15개 시 도의 도계장 수거계육에서 Salmonella속균은 58.3%(67/115)에서 분리되었고, S. muenchen (57.3%)과 S. enteritidis (22.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수공통병원균 중에서는 L. monocytogenes(43.5%), C. jejuni(37.4%), S. aureus(30.4%)의 순서로 분리되었으나, E. coli O157:H7은 국내 계육에서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도계육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시판되기 위해서는 최종적인 도계공정 이후 다양한 유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교차 및 추가오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한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 대책과 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조. 1990. 식육미생물검사의 현황과 개선 대책.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4, 137-150
  2. 김기석, 이용주, 모인필, 우용구. 2002. 닭 도축장내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6, 343-350
  3. 우용구. 2005. 1996년도 서울경기지역에서의 시판계육과 계란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한국미생물학회지 41, 38-46
  4. 우용구, 현방훈, 정석찬, 김봉환. 1997. Salmonella 속균의 신속동정을 위한 PCR진단법개발. 수의학과 논문집 1, 63-69
  5. 우용구, 김기석, 김봉환. 1998. Coagulase genes의 polymorphismss에 따른 국내 계육유래 Staphylococcus aureus 의 molecular typing. 수의과학논문집 40, 36-42
  6. 우용구, 박미선, 우승룡 김봉환, 김재학. 2000. 한국의 동물과 사람에서 분리한 Salmonella emeritidis의phage types. 대한수의학회지 40, 515-524
  7. 우용구, 이희수, 이영주, 강민수, 김봉환, 김재학. 2000. 우리나라의 가금과 환경에서 분리한Salmonella species 의 특성. 대한수의학회지 40, 505-514
  8. 홍종해. 1994. 국내에서 보고된 동물성 식품유래 식중독의 역학적 발생특징.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8, 147-153
  9. Bichler, L.A., K.V. Nagaraja, and D.A. Halvorson. 1996. Salmonella enteritidis in eggs, cloacal swab specimens and internal organs of experimentally infected white leghorn chickens. A.J. V.R. 57, 489-452
  10. Blankenship, L.C. 1991. Colonization control of human bacterial entero-pathogens in poultry. Academic press, USA
  11. Call, D.R., J.G. Hallett, S.G. Mech, and M. Evans. 2001. Detecting and genotyping Escherichia coli 0157:H7 using multiplex PCR and nucleic acid microarrays. Mol. Ecol. 7, 1337-1346 https://doi.org/10.1046/j.1365-294x.1998.00454.x
  12. Cappuccino, J.G. and N. Sherman. 1987.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2nd ed., p. 75-79.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California, USA
  13. Cardarelli-Leite, P., K. Blom, C.M. Patton, M.A. Nicholson, A.G. Steigerwalt, S.B. Hunter, D.J. Brenner, T.J. Barrett, and B. Swaminathan. 1996. Rapid identification of Campylobaeter species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fa PCR-amplified fragment of the gene coding for 16S rRNA. J. Clin. Microbiol. 34,62-67
  14. Henzler, D.J., E. Ebel, J. Sanders, D. Kradel, and J. Mason. 1994. Salmonella enteritidis in eggs from commercial chicken layer flocks implicated in human outbreaks. Avian Diseases 38, 37-43 https://doi.org/10.2307/1591834
  15. Hitchins, A.D. 1995. Listeria monocytogenes. FDA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th ed., p 10.01-11.07.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USA
  16. Humphrey, T.J., K.W. Martin, and A. Whitehead. 1994. Contamination of hands and work surfaces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T4 during the preparation of egg dishes. Epidemol. Infect. 113, 403-409 https://doi.org/10.1017/S0950268800068412
  17. Izatand, A.L. and P.W. Waldroup. 1989. Salmonellosis causes and cures. World poultry, Aug/Sept, 16-17
  18. Lammerding, A.M., M.M. Garcia, E.D. Mann, Y. Robinson, W.J. Dorward, R.B. Truscott, and F. Titiger. 1988. Prevalence of Salmonella and thermophilic Campylobacter in fresh pork, beef, veal and poultry in Canada. J Food Protection 51, 47-52 https://doi.org/10.4315/0362-028X-51.1.47
  19. Mead, G.C. 1990. Standardiz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crobiological condition of processed poultry in relation to potential shelf-life. World's poultry Science J. 46, 14-18 https://doi.org/10.1079/WPS19900003
  20. Mulder, R.W.A. 1994. Concentrating on hygiene and environment control. World poultry 10, 41-42
  21. Mulder, R.W.A. 1989. Salmonella in poultry is a worldwide problem. World poultry April/May, 43
  22. Rahkio, M. and H. Korkeala. 1996.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carcasses related to hygiene practice and facilities on slaughtering lines. Acta Vet. Scand. 37, 219-228
  23. Wallace, H.A., A.J. Geraldine, and S.S. Patricia. 1995. Salmonella. FDA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