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rvey and prove the role and impac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School Libraries Revitalization. The samples of the survey, consisted 96 school libraries in Kyungbuk Province, were revitalized before 2005 by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Korea.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group consisted of 47 libraries managed by teacher librarian, and the other group consisted of 49 libraries which were managed by class teachers who are not majored in Library Science. The questionnaires were mainly conducted by survey but interview, telephone, and e-mail method also used. The state of the art of the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budget, acquisition, cataloging, collection management, circul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ervices for the faculties and student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 librarian group offers more user-tailored and intensive services than class teacher group.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가 2003년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추진하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통해서 2005년도 이전에 활성화된 경북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담당인력(사서교사 vs. 일반교사)에 따른 도서관의 운영과 서비스의 효과 차이를 비교분석,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서교사와 일반교사가 운영하는 각각의 도서관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우편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직접 면담, 전화 면담, 이메일 등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은 도서관 담당교사의 도서관 기능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 담당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활성화 이후 학교구성원(학교장/교감, 교사,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 추이, 도서관 운영 현황-예산, 장서구성, 자료수집, 자료조직, 비도서 자료관리-, 교사와 학생에 대한 서비스의 종류와 효과, 도서관 행사, DLS와 홈페이지를 포함한 정보기술의 활용정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한 데이터를 사서교사와 일반교사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