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rum Lipid Levels of Elderly People in Wando Area -Based on Dietary Behaviors-

완도지역 중·장년층의 혈중지질 수준에 관한 연구 -식행동을 중심으로-

  • Kim, Eun-Ju (Dept. of Nursing, Hanseo University) ;
  • Cha, Bok-Kyeong (Dept. of Naturopathic Medicine, The Post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 김은주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
  • 차복경 (한서대학교 자연요양복지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ocument the association between eating behaviors and major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ose who stated that they ate a daily breakfast for male and female were 88.6% and 96.0%, $1{\sim}2$ times a week were 9.1% and 2.0%, $3{\sim}4$ times a week were 2.3% and 2.0%, respectively. Those who stated that they were overeating of $0{\sim}1$ time a week for man and female were 80.7% and 89.9%, overeating of $2{\sim}3$ times a week were 19.3% and 10.1%, respectively. Those who said that they were regular of meal time for man and female were 38.6%, and 37.4%, sometimes irregular of meal time were 14.8% and 19.2%, irregular of meal time were 46.6% and 43.4%, respectively. Those who said that they were light of eating volume for man and female were 20.5% and 25.3%, moderate of eating volume were 69.3% and 61.6%, heavy of eating volume were 10.2% and 13.1%, respectively. Those who said that they were very fast of eating speed for man and female were 15.9% and 8.1%, fast of eating speed were 51.1% and 34.3%, moderate of eating speed were 4.5% and 20.2%, slow of eating speed were 17.0% and 14.1%, and very slow of eating speed were 11.4% and 23.2%, respectively. Higher frequency of breakfast a week resulted in higher serum total cholesterol and blood sugar for the daily eating group for both genders with women having high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oth group had high HDL-cholesterol and low blood sugar with less number of overeating, with men having low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With regular meal, both group had low triglyceride, tota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and blood sugar with women having low LDL-cholesterol. For both groups, the triglyceride,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and blood sugar had higher figures for overeating, with men having low HDL-cholesterol and women having high HDL-cholesterol. This study revealed that less number of overeating, regular mealtime, and less volume of food intake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for the cardiovascular diseases.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남 신안군 완도면 지역의 46세에서 83세 사이의 남자 88명과 여자 99명 총 187명을 대상으로 식생활의 서구화와 함께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증하고 있는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의 유발요인, 도서지역 주민의 식행동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보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41) 조사대상자의 남녀 평균 연령은 각각 65.14세, 64.92세였고 평균 신장은 161.16 cm, 151.64 cm, 평균 체중은 63.03 kg, 56.46 kg, 평균 BMI는 24.33 $kg/m^2$, 24.48 $kg/m^2$, 평균 WHR은 0.94, 0.94였다. 일주일간의 아침식사 횟수는 남녀 모두 연령별, 성별 차이는 없었다.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은 남자 88.6%, 여자 96.0%로 여자의 매일 아침식사 비율이 남자보다 높았다. 과식정도는 남자는 연령 군별 차이가 있었고(p<0.01) 여자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남자는 연령이 낮은 집단일수록 과식횟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는데(p<0.01) 여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활동량과 현업종사 등의 이유일 것으로 보인다. 식사시간의 규칙성은 남녀 각각 규칙적 식사 38.6%, 37.4%, 때때로 규칙적 14.8%, 19.2%, 불규칙 46.6%, 43.4%로 각 군별 차이는 없었다. 식사량은 남자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는 차이가 있었다(p<0.001). 여자는 나이가 많은 연령 군일수록 적게 먹었으며 많이 먹는다고 한 군은 60세 이하가 가장 많았고(69.2%) 연령 군별 식사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식사속도는 남녀 모두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p<0.05, p<0.01)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p< 0.001). 남자는 빠르게(67%) 여자는 보통보다 느리게(67.5%)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식사속도의 차이가 있었다(p<0.001). 아침식사 횟수는 매일, 주당 1${\sim}$2회, 3${\sim}$4회 먹는 사람의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남자는 각각 151.88 mg/dL, 120.25 mg/dL, 175.00 mg/dL, 여자는 각각 145.78 mg/dL, 95.00 mg/dL, 100.00 mg/dL로써 세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otal-cholesterol은 아침식사를 매일, 주당 1${\sim}$2회, 3${\sim}$4회 먹는 군이 남자는 각각 195.78 mg/dL, 161.00 mg/dL, 160.00 mg/dL로 매일 먹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여자도 각각 171.24 mg/dL, 90.00 mg/dL, 88.50 mg/dL로 남자와 마찬가지로 매일 먹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이 지역 주민의 혈청 콜레스테롤 평균이 한국인 정상 범위에 속하긴 하였으나 매일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여자의 혈청 총콜레스테롤이 108 mg/dL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연령, 빈도의 차이 등 여러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맥경화 유발인자 중 하나인 LDL-cholesterol은 남자가 매일 먹는 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여자는 아침식사를 매일, 주당 1${\sim}$2회, 3${\sim}$4회 먹는 군이 각각 112.80 mg/dL, 70.00 mg/dL, 78.00 mg/dL로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HDL-cholesterol은 남자는 세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여자는 아침식사를 매일, 주당 1${\sim}$2회, 3${\sim}$4회 먹는 군이 각각 49.39 mg/dL, 75.00 mg/dL, 72.00 mg/dL로 아침식사를 매일 하는 군에 비해 다른 두 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이는 지질대사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p<0.001). Atherogenic index는 아침식사를 매일, 주당 1${\sim}$2회, 3${\sim}$4회 먹는 사람 군이 남자는 각각 2.08, 2.87, 1.26으로 아침을 1${\sim}$2회 먹는 군과 3${\sim}$4회 먹는 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01), blood sugar는 남녀 모두 각 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은 정상 범위에 있었다. 과식 정도에 따른 혈중지질, 혈당 수준을 살펴보면 혈중 중성지방은 남자는 일주일에 0${\sim}$1회, 2${\sim}$3회 과식이 각각 130.65 mg/dL, 154.06 mg/dL로 일주일에 2${\sim}$3회 과식하는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여자는 차이가 없었다. Total cholesterol은 남자가 일주일에 0${\sim}$1회, 2${\sim}$3회 과식하는 군이 각각 191.39 mg/dL, 181.76 mg/dL, 여자는 각각 167.92 mg/dL, 168.00 mg/dL로 남자는 0${\sim}$1회 과식하는 군이, 여자는 2${\sim}$3회 과식하는 군이 높게 조사되어 여성의 경우 남성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대상 여성은 46세 이상으로 대부분이 폐경이 되어 지질대사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LDL-cholesterol은 남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여자는 각각 112.63 mg/dL, 98.80 mg/dL로 일주일에 2${\sim}$3회 과식하는 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HDL-cholesterol은 남자 각각 58.76 mg/dL, 51.59 mg/dL, 여자 각각 50.93 mg/dL, 45.30 mg/dL로 과식 횟수가 적은 군이 높게 나타나 좋은 식습관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진 HDL-cholesterol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therogenic index는 남자가 각각 1.87, 2.19로 과식 횟수가 많은 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여자는 2.50, 2.43으로 남자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고 여자는 0${\sim}$1회 과식하는 군이 HDL-cholesterol이 높은데도 atherogenic index가 높은 것은 여성의 경우 폐경을 전후로 에스트로겐이 감소하여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 Blood sugar는 남자가 각각 84.34 mg/dL, 95.59 mg/dL로 일주일에 2${\sim}$3회 과식하는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여자도 각각 90.19 mg/dL, 99.80 mg/dL로 남자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식사시간이 규칙적, 때때로 규칙적, 불규칙적인 군들 간에 혈중 중성지방은 유의성은 없지만 두군 모두 식사 시간이 불규칙적인 군이 높게 나타났다. Total-cholesterol은 남자가 각각 177.79 mg/dL, 216.85 mg/dL, 190.61 mg/dL로 식사시간이 때때로 불규칙적인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여자는 각각 157.43 mg/dL, 159.53 mg/dL, 181.81 mg/dL로 식사시간이 규칙적인 군과 불규칙적인 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LDL-cholesterol은 두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DL-cholesterol은 남자는 각각 54.49 mg/dL, 54.69 mg/dL, 50.50 mg/dL로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인 군이 다른 두 군보다 낮았고 여자는 각각 49.58 mg/dL, 53.05 mg/dL, 49.89 mg/dL로 때때로 불규칙적인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혈청지질은 연령, 성별, 식습관, 생활양식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therogenic index는 남자가 각각 1.80, 2.20, 2.38로 불규칙적인 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여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Blood sugar는 남자가 각각 75.35 mg/dL, 115.31 mg/dL, 86.63 mg/dL로 때때로 불규칙적인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여자는 각각 79.00 mg/dL, 89.59 mg/dL, 99.56 mg/dL로 불규칙적인 군이 규칙적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p<0.05),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평소의 식사량이 적은 군, 보통, 많이 먹는 군의 남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보통 이상 먹는 군의 혈중 지질수준이 높았고 여자는 각각 148.69 mg/dL, 133.59 mg/dL, 148.69 mg/dL로 보통으로 먹는 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otal-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은 남녀 모두 많이 먹는 군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HDL-cholesterol은 남녀 모두 적게 먹는 군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Atherogenic index는 남녀 모두 식사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Blood sugar는 남녀 모두 유의성은 없지만 식사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식사량이 많으면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blood sugar는 높고 H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사속도는 매우 빨리, 빨리, 보통, 천천히, 매우 천천히 먹는다고 답한 군들의 혈중 중성지방은 남자는 각각 131.43 mg/dL, 158.11 mg/dL, 281.50 mg/dL, 112.13 mg/dL, 139.60 mg/dL로 식사 속도가 보통이라고 답한 군은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여자는 각각 155.25 mg/dL, 146.91 mg/dL, 115.40 mg/dL, 165.93 mg/dL, 146.57 mg/dL로 보통인 군이 가장 낮아 남자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고, 보통과 매우 빠르다, 천천히 먹는다고 한 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Total-cholesterol은 남자가 각각 183.57 mg/dL, 195.18 mg/dL, 215.50 mg/dL, 188.53 mg/dL, 163.60 mg/dL로 보통이다, 매우 느리다고 한 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5) 여자는 차이가 없었다. LDL-cholesterol은 남자가 각각 110.71 mg/dL, 118.07 mg/dL, 150.00 mg/dL, 125.60 mg/dL, 126.80 mg/dL로 보통이라고 답한 군이 다른 군들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HDL-cholesterol은 남자가 각각 54.00 mg/dL, 53.62 mg/dL, 41.50 mg/dL, 54.93 mg/dL, 50.30 mg/dL로 보통 또는 천천히 먹는다고 답한 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5) 여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therogenic index는 남자가 보통으로 먹는 군이, 여자는 매우 빨리와 천천히 먹는다고 답한 군이 약간 높았다. Blood sugar는 남자가 각각 81.00 mg/dL, 80.22 mg/dL, 76.50 mg/dL, 112.73 mg/dL, 87.20 mg/dL로 천천히 먹는다고 한 군이 다른 군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여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침식사의 규칙성과 혈중지질 농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규칙적으로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에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와 혈당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여자는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농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식횟수는 남녀 모두 과식횟수가 적을수록 HDL-cholesterol 농도는 높고, 혈당은 낮았고, 남자의 경우에는 혈청 중성지방과 LDL-cholesterol 농도가 낮았다. 식사시간의 규칙성은 규칙적인 식사를 하면 남녀 모두 혈청 중성지방 농도, 총 cholesterol 농도, 동맥경화지수, 혈당이 낮았고, 여자는 LDL-cholesterol 농도도 낮았다. 한 번 먹을 때의 식사량은 남녀 모두 많이 먹으면 혈청 중성지방 농도와 총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농도, 동맥경화지수, 혈당이 높게 나타났고, HDL-cholesterol 농도는 남자는 낮았고 여자는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과식횟수가 적고 식사시간이 규칙적이며, 1회 섭취량이 적을수록 혈청내의 지질조성, 혈당 및 동맥경화지수가 적당한 상태로 나타나서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사행동으로 보여진다. 본 결과를 토대로 중${\cdot}$장년층을 대상으로 식사의 규칙성과 섭취 적당량에 대한 영양교육도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pplegate WB, Hughes JP, Zwaag RV. 1991. Case-control study of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s in the elderly. J Clin Epidemiol 44: 409-415 https://doi.org/10.1016/0895-4356(91)90079-O
  2. Stewart GF, Amerine A. 1982. Introduction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3. Park MY. 1998. A review on changes of dietary life and mortality pattern in Korea. Korean J Nutr 21: 146-153
  4. Sakamoto M, Chju PB, Tee ES, Winarno FG, Tontisirin K, Wahlqvist M, Howden J, Kasiwazaki H. 1995. Dietary pat- tern and food habit changes in Asia, a collaborative study. Proc 7th ACN. p 54-65
  5. Pushpamna P. 1991. Changing dietary patterns-policy intervention. Proc 6th ACN. p 336-348
  6. Cho JE, Kim JH, Song K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and the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 Korean Soc Food Nutr 23: 55-61
  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1988.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nutrition and health. US. Gov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DHHS publication No (PHS) 88: 50210
  8. Eaker ED, Chesebro JH, Sacks FM. 1993.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Circulation 88: 1999-2000 https://doi.org/10.1161/01.CIR.88.4.1999
  9. Baek JY, Kim KJ, Lee YK, Lee SK, Lee HS. 2000.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area (I). Korean J Nutr 33: 435-438
  10. Kannel AB. 1993. Metabolic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perspective from the Framingham Study. Atherosclerosis 99: 207-217 https://doi.org/10.1016/0021-9150(93)90023-N
  11. Kagan A, Harris BR, Winkelstein W, Johnson KG, Kato H, Syme SL, Rhoads GG, Gay ML, Nichaman MZ, Hamilton HB, Tillofson J. 1974. Epidemiologic studie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in Japanese men living in Japan, Hawaii and California: demographic, physical, dietary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J Chron Dis 27: 345-364 https://doi.org/10.1016/0021-9681(74)90014-9
  12. Preuss HG. 1993. Nutrition and diseases of women: cardiovascular disorders. J Am Coll Nutr 12: 417-425 https://doi.org/10.1080/07315724.1993.10718331
  13. Lee YS, Synn HA, Lee KY. 1992. A study on concentrations of serum lipids and food and daily habit of healthy Korean adult. Korean J Lipidology 2: 41-51
  14. Lee DH, Kim IS. 2000. The stuty of associations among serum lipids, anthropometric mesurements food intake frequency and nutrient intake in healthy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642-653
  15. Choi JH, Kim MH, Cho MS, Lee HS, Kim WY. 2002. The nutrition status and dietary pattern by BMI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5: 480-488
  16. The Expert Panel. 1988.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rch Intern Med 148: 36-69 https://doi.org/10.1001/archinte.148.1.36
  17.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Year book of statistics. Seoul, Korea
  18. Pi-Sunyer FX, Shils ME, Young VR. 1988.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7th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p 795-796
  19. Hall TR, Young TB. 1989. A validation study of body fat distribution as determined by self-measurement of waist and hip circumference. Int J Obes 13: 801-807
  20. Kkitzsch SG, McNamara JR. 1990. Triglyceride measurements, a review of methods and interferences. Clin Chem 36: 1605-1613
  21. Fried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Park MY, Lee KH, Yoon HS. 2001. Nutrition states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focusing on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6: 527-541
  23. Choe JS, Ji SM, Park HY, Hong SM. 2003.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32-1146 https://doi.org/10.3746/jkfn.2003.32.7.1132
  24.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 45-55
  25. Ahn B, Kim SY. 1999.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and the preferences of industrial workers in Korean. J East Asian Dietary Life 9: 10-19
  26. Kim SY, Jung KG, Lee SK, Jang YU. 1999. Comparisons of anthropometr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food behaviors of normocholesteroemia in the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32: 713-725
  27. Kim JH, Koo BK, Kim KJ, Baek JW, Lee YK, Lee SK, Lee HS. 1999.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ung-Ju. Korean J Community Nutr 4: 219-230
  28. Haines PS, Guilkey DK, Popkin BIU. 1996.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of US adults between 1965 and 1991. J Am Diet Assoc 96: 464-470 https://doi.org/10.1016/S0002-8223(96)00130-7
  29. Lee SH, Shin JS, Moon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 533-546
  30. Eisenman PA, Johnson SC, Benson JE. 1993. Nutrition for Health and Sports p 137
  31. Gwinup G, Byron RC, Roush WH, Kruger FA, Hamwi GJ. 1963. Effect of nibbling versus gorging on serum lipids in man. Am J Clin Nutr 13: 209-213 https://doi.org/10.1093/ajcn/13.4.209
  32. Jones PJ, Leitch CA, Pederson RA. 1993. Meal-frequency effects on plasma hormone concentrations and cholesterol synthesis in humans. Am J Elin Nutr 57: 868-874 https://doi.org/10.1093/ajcn/57.6.868
  33. Edelstein SL, Barrett-Connor EL, Wingard OL, Cohn BA. 1992. Increased meal frequency associated with decreased cholesterol concentrations Rancho Bernardo, CA, 1984- 1987. Am J Clin Nutr 55: 664-669 https://doi.org/10.1093/ajcn/55.3.664
  34. Chung HH, Park HS, Shin HD. 1987. Dietary habits and lipid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in Korean. Korean J Nutr 20: 422-431
  35. Huh YR, Lim HS. 1997. A comparison of normocholesterol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in middle aged men in Kwangju. Korean J Community Nutr 2: 327-337
  36. Harris TB, Ballard-Barbasch R, Madans J. 1993. Overweight, weight los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older women. The NHANES 1 epideuriologic follow-up study. Am J Epidemiol 137: 1318-1327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6641
  37. Kim SY, Yoon JS, Cha BG. 1992. Relatitionship among body fat distribution, adiposity, fasting serum insulin and lipids in adult female. Korean J Nutr 25: 221-232
  38. Yang YJ, Kim JC. 2000. The nutritional status of middle aged Korean men. exhibiting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their blood lipid profile. Korean J Nutr 33: 59-67
  39. Lee HJ, Yoon JS. 2001. Comparision of lifestyle and nutrient intake by number of composition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 in Daegu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6: 317-330
  40. Kim IN, Seo ES. 1998.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n blood pressure, γ-GPT, blood glucose and HDL-cholesterol in the Cheon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3: 574-582
  41. Cha BK. 2006. A study on serum lipid levels in elderly people in Wando area -based on age, BMI, WH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8-77 https://doi.org/10.3746/jkfn.2006.35.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