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tuation and Demand with Nutrition Service in Health Promotion Center

건강검진센터에서의 영양서비스 현황 및 요구도 조사

  • Chang, Ji-Ho (Departmemt of Health Promotion Center in Asan Medical Center)
  • 장지호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 Published : 2007.07.31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nutrition counseling services in health promotion center and to investigate demands of subjects for nutrition servic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 90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people receiving nutrition services showed that 58.5% of the counseling group and 46.4% of the non-counseling group answered having experience with nutrition services. And 50% of them received nutrition counseling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Diet therapy with health check-up results also appeared the highest in contents of nutrition counseling. As a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health knowledge, subjects relied heavily or most on the TV, internet, books, magazines, and newspapers. On the other hand, they relied much less on advice from dietitians, nutritionists, medical doctors and nurses. The experience of receiving nutrition services and thinking about nutrition education related positively. It showed that the counseling group (95.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counseling group (80.5%) in necessity of nutrition assessment. But, necessity of nutrition counseling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thod of nutrition counseling subjects preferred was individual consultation. The subjects answered to having need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calorie prescription in nutrition assessment and individual nutritional status results explanation in nutrition counseling. In conclusion all people visiting health promotion centers need nutrition service of some kind.

본 연구는 현재 건강검진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영양서비스 현황과 영양서비스의 요구도를 관찰하여 영양서비스 개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영양평가 및 상담에 적용하여 영양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서비스의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상담군의 경우 58.5%, 비상담군의 경우 46.3%로 나타났다. 그 중 상담군 56.1%, 비상담군 43.9%가 개별상담을 받았고, 상담내용은 건강검진결과에 따른 결과상담이 가장 높았다. 영양지식 및 건강정보는 TV, 인터넷, 책, 잡지, 신문을 통해 얻는 경우가 많았으며, 영양사나 의사, 간호사 등 교육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비율은 낮았다. 2) 영양서비스를 받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 상담군 80.5%, 비상담군 73.2%가 긍정적으로 대답하였으며,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영양서비스 경험과 영양서비스에 대한 생각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29, p < 0.01). 3) 영양평가의 필요성은 상담군의 경우 95.1%로 비상담군 80.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 < 0.05), 영양상담의 필요성은 상담군의 경우 97.6%, 비상담군의 경우 100%로 영양상담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영양서비스의 수단으로 개별 상담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4) 영양서비스 요구항목의 우선순위를 보면, 영양평가는 식사섭취열량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p = 0.000), 영양상담은 상담군의 경우 영양평가를 통해 출력된 영양소별 1일 섭취량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 상담을 원했으며 (p = 0.031), 비상담군은 건진결과에 따른 식사요법에 대한 영양상담을 원하는 비율이 높았다 (p = 0.000). 영양결과지는 도표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원하였으며 (p = 0.014), 리플릿이나 영양책자는 사진의 추가로 시각적인 효과를 높여달라는 요구도의 순위가 가장 높았다 (p = 0.014).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검진센터의 영양서비스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영양평가시 영양문제파악을 위한 개개인의 영양상태 평가 도구로써 보다 세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양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겠다. 2) 현재 일부 정밀건강검진프로그램에서만 결과에 따라 개인별 식사요법이나 영양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영양교육 및 다양한 영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건강증진, 질병예방 측면에서 볼 때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며, 소비자들도 원하는 부분이다. 이에 다양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건진프로그램에 영양서비스 정착에 힘써야 할 것이며, 더불어 영양사의 자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하겠다. 3) 영양평가결과지에 그래프나 도표 첨부, 영양자료나 리플릿 제작시 사진이나 그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 추가 등의 수정보완이 필요하겠다. 4) 본 연구를 통해 영양서비스 요구도 설문이 실시됨으로써 차후에 다양한 건강검진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차원에서의 건강검진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제공의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본 연구는 영양서비스에 대한 평가에서 제한된 부분만을 분석하였으므로 앞으로는 여러 가지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영양상담 내용을 행동에 옮기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변수들의 규명과 분석이 진행되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German PS, Fried LP. Prevention and the elderly, public health issues and strategies. Annu Rec Public Health Co; 1989. p.319- 332
  2. Fortmann SP, Willoams PT, Hulley SB, Hanskell WL, Farquhar JW.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dietary behavior, the Stanford three community study. AJCN 1994; 34: 2030-2038
  3. Chun SK. The necessity of nutritional assistance for adults. Nturition and Dietetics 1998; 88(7,8): 22-27
  4. Kaufman M. Nutrition in public health. Aspen publication; 1990
  5. O'Donnell MP. Definition of health promotion, part 2: Levels of programs. Am J Health Promot 1986; 1(1): 4-5
  6. Mason M, Wengerg BG, Welsh PK. The Dynamics of clinical dietitians, 2nd ed., New York, John Wiley&Sons.; 1982
  7. Parasuraman A, Weithamal VA, Berry L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 Marketing 1985; 49(4): 41
  8. Trudeau E, Dube L. Moderators and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diet counseling for patients counsuming a therapeutic diet. J Am Diet Assoc 1995; 95(1): 34-39 https://doi.org/10.1016/S0002-8223(95)00010-0
  9. Lee EY. The nutrition education status and the necessary of system of employee health improvement movement. Korean Dietetic Association National Nutritionist Conference; 1999. p.31-41
  10. Jang KH, Kim YO. Comparision of priorities in health center nutrition service needs between provider and consumer. Kor J Community Nutr 2000; 5(3): 529-536
  11. Ly SY, Kim KE. The perception and need for nutrition counseling of the adults living in Daejeon. Kor Living Sci Assoc 2002; 11(1): 95-106
  12. Lyu ES, Lee SM, Hyh KY. A study of satisfaction with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consumers. J Kor Diet Assoc 1996; 2(1): 62-68
  13. Jang MR, Hong WS. Nutrition service need assessment for industrial employees. J Kor Diet Assoc 2000; 6(1): 26-32
  14. Choue RW, Hong JY, Lee HW, Lee SL.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of nutritional consultation during medical examination of employees and of worksite nutrition programs. J Kor Diet Assoc 1996; 2(1): 20-28
  15. Wood ER. Weight loss maintenance 1 year after individuals counseling. J Am Diet Assoc 1990; 90(9): 1256-1260
  16. Joung HJ, Ahn BC.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dy mass index of community resi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12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