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erarchy of the dolmen society in Yosu Peninsula

여수반도 지석묘 사회의 계층구조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aking the Yosu Peninsula where prestige goods were prevalent and more dolmen were excavated and surveyed than other regions as object of the research,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 the hierarchy of dolmen society. The dolmen groups were excavated and surveyed at some 20 positions in Yosu Peninsula Analyzing the number, weight of upper stone, location, the buried relics of dolmen, the hierarchy for each dolmen grou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seems that the large group with a lot of dolmen and big upper stone which is located on the plane with stream or on the lower part of hill might be the central group with abundant buried relics. However, the size of individual upper stone does not coincide with buried relics sometimes. Thus, it is required to review the entirety of dolmen group rather than individual upper ston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cale of upper stone and buried relics. Then the scale of tomb is proportionate to the prestige goods. Meanwhile, the discrepancy between dolmens can be verified by the difference among upper stone, tomb, burial accessories, etc in the unit dolmen group. Since dolmen is the tomb of some inhabitants in the Bronze Age, the existence of stone coffin tomb with buried bronze sword, jade or stone sword compared to the stone coffin with no relics means that there was powerful representative of one generation even in one kindred group on the basis of wealth or authorit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pper stone or large tomb or prestige goods among the persons buried in dolmen were fixed as high class, those with relatively small stone coffin with no or scanty burial accessories were fixed as medium class and multitudinous class who were not buried in dolmen were fixed as low class. Therefore, the dolmen society in Yosu Peninsula shows that there was division of class in the unit dolmen group as well as hierarchy in the group.

본고는 위세품이 풍부하고 타 지역보다 많은 지석묘가 발굴조사 된 여수반도를 대상으로 지석묘사회의 계층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수반도에서는 약 20개소의 지석묘 군이 발굴조사되었다. 지석묘의 수.상석.무게.입지 부장유물 등을 분석해 보면 지석묘군집별 위계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대개 지석묘의 수가 많아 집단이 크고 상석이 대형이며 입지가 곡간 평지나 구릉의 하단부에 자리잡은 집단이 부장유물이 풍부한 중심적인 집단으로 추정된다. 다만, 개별상석의 크기와 부장유물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석의 규모와 부장유물의 관계에서는 개별 상석보다는 지석묘군 전체를 검토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집단별로 어느 정도 크기의 상석을 옮길 수 있는지는 그 집단의 위상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위 지석묘군내에서도 상석, 매장주체부, 부장품 등의 차이에 의해 지석묘간의 차별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지석묘가 청동기시대 일부 주민의 무덤이라는 점에서,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석곽에 비해 동검이나 옥, 석검이 부장된 석곽묘의 존재는 하나의 친족집단내에서도 부나 권위에 근거하여 한 세대를 대표하는 유력자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지석묘 피장자 중 상석이나 매장주체부가 크고 위세품이 부장된 경우가 상층으로, 석곽이 비교적 작으면서 부장품이 없거나 빈약한 경우가 중층으로, 지석묘에 피장되지 못하는 다수의 계층이 하층으로 각기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 3계층은 각기 삼한시대의 대인, 하호, 생구와도 연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여수반도 지석묘사회는 단위 지석묘군내에서 계층구분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집단간에도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