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폐기물 소각장 비산재의 시멘트 및 폐석분 고형화시 압축강도 및 용출특성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each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Incinerator Fly Ash, Cement and Waste Stone Powder by Solidification

  • Jung, Ho-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i-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5.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기물 소각장 비산재의 고형화시 시멘트와 폐석분을 일정 비율로 첨가하여 하나의 공시체로 만든 후, 압축강도와 중금속의 용출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비산재의 고형화시 고화제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의 입도와 SEM 분석 결과, 폐석분의 입도가 작게 나타났으며, 비산재가 시멘트나 폐석분의 혼합시 조밀성이 향상되고 뚜렷한 결정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시료의 XRD 분석 결과, 비산재의 경우 CaO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폐석분에 경우 SiO$_2$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고화제로 사용되는 시멘트와 혼합시 수화반응 및 Pozzolan반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시체의 압축강도의 경우, 비산재에 시멘트와 폐석분 혼합 첨가시에 각 첨가비율에 따른 모든 압축강도가 10 kgf/cm$^2$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시멘트 단독으로 첨가할 때 보다 시멘트와 폐석분을 혼합하여 첨가할 때 더욱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 폐석분을 혼합 14일 양생 시, 시멘트 150 kg/m$^3$에 폐석분 80$\sim$100 kg/m$^3$을 주입하는 것으로 국내의 폐기물 관리기준 Pb 3 mg/L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the solidification behaviour and compressive strength of fly ash, cement, and waste stone powder were studied each separately and with addition of each in different proportions. And also, we assessed stabilizing ability of waste stone powder in cement which was added in fly ash. The particle size of waste stone powder was found smaller than the fly ash and cement particle sizes. Moreover, when mixing all(fly ash, cement, and waste stone powder) showed distinctive crystal structure, and improved stiffness. In case of mixing fly ash, cement and waste stone powder in different proportions,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exceeded to the predicted compressive strength of 10 kgf/cm$^2$. The XRD analysis showed high contents of CaO in fly ash and SiO$_2$ in case of waste stone powder sample. Heavy metal emission experiment showed the 3mg/L of Pb after 14 days of mixing 150 kg/m$^3$ of cement with the 80$\sim$100 kg/m$^3$ of waste stone powder, which is fulfilling the National Waste Management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우근, 김진범, 김은미, "비산재중에 함유된 중금속의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2)," 한국폐기물학회지, 14(3), 257-260(1997)
  2. 김창은, 이승규, "시멘트를 이용한 폐기물의 고형화처리기술," 요업재료의 과학과 기술, 9(5), 517-528(1994)
  3. 신항식, 윤석표, "유해폐기물의 안정화 및 고형화 기법," 공해대책, 20(6), 82-88(1989)
  4. 환경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사회 확립을 위한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2002-2011)," 1-20(2001)
  5. 이상호, "쓰레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비산재처리의 기술 동향," 신기술, 11(12), 24-36(1997)
  6. 송오용, 정준오, "오일응집법에 의한 생활폐기물 소각 비산재 중의 탄소성분 회수," 2004년도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p. 925(2004)
  7. 심재곤,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에 관한 법적 검토 ; 폐기물관리법 개정방향," 환경법연구, 20, 7-15(1998)
  8. "환경관계법규-폐기물편," 홍문관, 13-239(2006)
  9. 배성우, "생활폐기물 소각장 Fly Ash의 시멘트 고형화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16(1), 67-72(1999)
  10. 안남규, "산성광산배수 처리슬러지의 시멘트 고형화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21(4), 311-318(2004)
  11. 이범재, "유해폐기물 시멘트 고형화 처리 특성," 한국폐기물학회지, 18(6), 22-30(2001)
  12. 정진욱, "도금슬러지 시멘트 고형화에서의 압축강도와 용출농도의 상관관계," 한국폐기물학회지, 19(4), 426-435 (2002)
  13. Tashiro, H., "Harden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Adding Heavy Metal Compound and Solubility of Heavy Metal from Hardened Mortar," Cement and Concrete Reasearch, 7, 361-370(1977) https://doi.org/10.1016/0008-8846(77)90106-5
  14. Seaman, J. C., Arey, J. S., and Bertsch, P. M., "Immobilization of nickel and other metals in contaminated sediments by hydroxyapatite addition," J. Environ. Qual., 30, 460-469(2001) https://doi.org/10.2134/jeq2001.302460x
  15. Buchholz, B. A. and Landsberger, S., "Leaching dynamics studies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sh," J.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 45, 579-590(1995) https://doi.org/10.1080/10473289.1995.10467388
  16. Kim, C. E. and Lee S. K., "The effects of the Heavy Metal Ions on the Hydration and Microstructure of the Cement Paste," J. Korean Ceramic Society, 30(11), 967-973(1993)
  17. 김태영, "납슬러지의 시멘트 고화시 정제된 비산회와 물의 배합비에 따른 압축강도 및 용출 특성," 환경관리학회지, 8, 315-322(1999)
  18. 연익준, "납슬러지 고형화 및 용출 특성," 대한위생학회지, 14(3), 22-30(1999)
  19. 김영재, 서정인, 박노삼, 허해준, "매립처분장에서 소각잔사로부터 유래된 납의 용출특성과 납의 흡착제로서 복토층의 역할," 21(2), 225-233(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