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rontiers of Product Liability for Adverse Reactions to the Contrast Medium

조영제부작용에 대한 제조물책임의 한계

  • 임창선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Korean Product Liability Act established the principle that a manufacturer has a duty to take care of a person who is not the customer who bought the product for him. In this instance, there is a duty to the patient for whom the product was purchased by the hospital from the pharmaceutical company. Therefore, the pharmaceutical company has the product liability for adverse reactions to the contrast medium. But the possibility for the patient to successfully sue the pharmaceutical company is quite low, because the patient needs to prove that a "defect" in the unsafe product was the cause of his injuries. And the physician or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can not reduce his liability risks based on the Product Liability Act. On the contrary, The has the product liability because diluting contrast medium belongs to the product category.

제조물책임법에 의하면 조영제 제조업자는 조영제결함으로 인한 조영제부작용에 대해 환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이 있다. 그러나 환자 측에서 조영제부작용이 조영제의 결함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어려울 것이며, 그에 따라 조영제부작용을 제조물책임으로 묻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조영제 제조회사에 제조물책임이 있다고 하여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의료기관이나 조영검사자의 법적 책임을 덜 수도 없을 것이다. 오히려 조영검사를 위해 조영제 농도를 조정하는 조제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에 관여한 의사방사선사도 조제조영제에 대한 제조물책임의 주체가 되어 제조물책임을 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조영제부작용을 제조물책임으로 묻는 데는 신중해야 하며 조영검사자와 환자 측 양방을 보호할 수 있는 합리적인 새로운 법리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sham plc Annual Report Accounts 2002 Market report-Medical diagnostics radio- theraphy, http://www.amersham.com/cgi-bin
  2. 장근조, 권대철, 김명구, 유병규, “CT조영제의 부작용 예방을 위한 표준진료지침서의 개발과 적용”, 방사선기술과학, 제30권, 제1호, pp. 39-45, 2007.
  3. 김영덕, "CT조영검사에서 조영제부작용의 실태와 관련요인조사", 전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6-17, 2005.
  4. Christiansen C, "X-ray contrast media-an overview", Toxicology, Vol.209, pp.185-187, 2005. https://doi.org/10.1016/j.tox.2004.12.020
  5. 권기수,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 graphy)에 사용되는 조영제의 부작용 발생에 대한 분석",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24, 2004.
  6. Cutroneo P, Polimeni G, Curcuruto R, Calapai G, Caputi AP, "Adverse reactions to contrast media: an analysis from spontaneous reporting data", Pharmacol Research. Vol.56(1), pp.35-41, 2007. https://doi.org/10.1016/j.phrs.2007.03.003
  7. 강영한,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주의의무와 제조물책임", 방사선기술과학, 제30권, 제4호, pp.305-311, 2007.
  8. 全炳南, “의약품사고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149. 2006.
  9. 이상정, "제조물책임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저스티스, 제68호, p.8, 2002.
  10. 安法榮, "의료와 제조물책임", 고려법학, 제40호, pp.180-207, 2003.
  11. 김천수, "제조물책임법상 제조물의 개념-미국 제조물책임 리스테이트먼트와 비교하여", 성균관법학, 제16권, 제1호, p.52, 2004.
  12. 연기영, "생산물손해배상책임법", 육서당, p.369, 1999.
  13. http://en.wikipedia.org/wiki/Adverse_drug_reaction
  14. 김중권, "약사법상의 의약품(특히 신약)제조허가의 특질과 입증책임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제27권, 제2호, p.507, 1999.
  15. 平野克明,"製藥會社の責任と醫師の責任 下の2", 判例タイムズ, Vol.34(12), p.16, 1983.
  16. 권대우, "제조물책임에서의 제조물과 결함의 개념", 디지털시대의 소비자보호와 법II-전자상거래와 제조물책임, 한국법제연구원, p.27, 2002
  17. 김민중, "제조물책임법의 입법화와 그 내용", 전북법학논집, 제1권, p.46, 2000.
  18. 박동진, "전자상거래에서의 제조물책임법에 의한 손해배상책임", 디지털시대의 소비자 보호와 법II-전자상거래와 제조물책임, 한국법제연구원, pp.131-138, 2002.
  19. 대법원 1995.5.12 94다25551 판결.
  20. 京都地判 1979.7.2 判決, 判例時報, Vol.950, p.176, 1980.
  21. 김종현, "병원의 결합의약품의 제조와 사용으로 인한 제조물책임", 재산법연구, 제23권, 제2호, pp.257-285, 2006.
  22. http://media.daum.net/culture/health
  23. 이은영, "채권각론", 박영사, p.903, 2002.
  24. 김상용, "채권각론", 법문사, p.760, 2003.
  25. 김오수, "의약품제조자의 민사책임", 의료사고에 관한 제문제-재판자료, 제27집, 법원행정처, p.295, 1985.
  26. http://www.fda.gov/medwatch
  27. http://www.amersham.com/cgi-bin/RS.cgi
  28. 서울민사지법 1993.2.5. 선고 90가합55122 제12부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