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s of Forest Community Structure at the Valley of Piagol and Daeseonggol in the Jirisan National Park(I)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동태(I)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ermanent monitoring plots were installed in 2001 for long-term monitoring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t the Piagol(Valley) and Daeseonggol(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monitored the forest structure in the studied sites in 2001 and 2006. Dominant species at Piagol and Daeseonggol was Carpinuslaxiflora and Quercus mongolica respectively.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major species' stem diameter,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Piagol than that of Daeseonggol. The distribution of diameter in major tree species in the studied sites showed a stable plant community structure. The forest of Piagol, which is positioned in the valley, showed a quite a different composition of species from that of Daeseonggol, which is positioned on the slope. In the last five years, the overall grows rate of Piagol Forest decreased by $6.4m^2$ per hectare, while Daeseonggol Forest increased by about $8.27m^2$ per hectare. I think that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a lot of large old trees have died.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의 동태를 장기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2001년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여 2001년과 2006년에 식생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아골, 대성골 지역 산림의 우점종은 각각 서어나무와 신갈나무였으며, 피아골 지역의 산림이 대성골 지역보다 종다양도 지수가 더 높았다. 조사지역 주요수종의 직경급분포로 보아 안정된 식물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곡간부에 위치한 피아골의 산림과 소능선 사면부에 위치한 대성골의 산림간 종구성은 매우 이질적이었다. 피아골지역 산림의 생장량은 지난 5년간 약 $6.4m^2/ha$ 감소하였으나 대성골지역은 약 $8.27m^2/ha$ 증가하였으며, 이는 노거수들의 고사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호, 임영덕, 조도순, 고성덕, 민병부(1983) 피아골 극상림의 군락구조, 식물량 및 1차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1: 53-73
  2. 김용식, 임동옥, 전승훈, 신현탁, 김병도(2000)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16-329
  3. 내무부(1993)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지리산국립공원). 37-72쪽
  4. 박인협(1985) 白雲山地域 天然林生態系의 森林構造 및 物質生産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8쪽
  5. 오계칠, 강윤순(1983) 피아골 제 1차림의 군집생태학적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1: 39-52
  6. 오구균, 지용기, 박석곤(2000)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개체군 동태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30-339
  7. 이경재, 오구균, 조재창(1988) 내장산국립공원의 식물군집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i) -Ordination방법에 의한 식생구조분석-. 한국임학회지 77(2): 166-177
  8. 이경재, 오구균, 조재창(1988) 내장산국립공원의 식물군집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I) -Ordination방법에 의한 식생구조분석-. 한국임학회지 77(2): 166-177
  9. 이영노, 오용자(1983) 피아골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1: 25-37
  10. 이은복, 정규영(1993) 지리산 북부지역일대의 식물상. 지리산북부 지역 일대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31: 37-79
  11. 이창복(1963) 지리산의 식물자원. 지리산종합개발조사보고. 295-345
  12. 임양재, 김성덕, 이창남(1983) 피아골 극상림의 수분 및 양분의 수지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1: 87-98
  13. 장남기, 박봉규(1983) 피아골 극상림의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1: 87-98
  14. 환경청(1988) 지리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298쪽
  15. Brower, J.E. and J.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1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7.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18. Nakai, T.(1952)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u. Sci. Mus. Tokyo 31: 1-152
  19. Shannon C.E. and E.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117
  20.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