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Structure of Ridges and Restoration Areas between the National Astronomy Observatory and Birobo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sim}$비로봉구간 능선부 및 훼손복원지의 식생구조

  • 김정호 (동문건설(주) 기술연구소) ;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around the trails with the aim of restoring veget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section between the National Astronomy Observatory and Birobo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8 types, of which the largest wer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occupying the dimension of $225,337m^2$, Rhododendron schlippcubachii communities distributed around the trails on the ridge were covering 14.59%,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s were covering 11.06%. of the surveyed areas,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a total of 23 belt-transects were set up; 9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3 in broadleaf deciduous forests, 2 in Taxus cuspidata communities, and 9 in damage restoration area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pecies diversity,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 number by community.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9 belt-transects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showed their species diversity was $0.4290{\sim}1.0496$ with $7{\sim}22$ species and $115{\sim}481$ individuals. 3 belt-transects in broadleaf deciduous communities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was $0.6712{\sim}1.0096$ with $14{\sim}17$ species and $158{\sim}453$ individuals. 2 belt-transects in Taxus cuspidata communities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was $0.5413{\sim}0.9923$ with $14{\sim}15$ species and $223{\sim}406$ individuals. 8 belt-transects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was $0.1899{\sim}0.9217$ with $3{\sim}23$ species and $105{\sim}485$ individuals.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 천문대${\sim}$비로봉 구간의 식생복원 및 지속적 모니터링을 위해 구간내 탐방로 주변 현존식생과 식생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1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신갈나무군집이 $225,337m^2$로 가장 넓은 면적이었고 능선부 탐방로 주변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철쭉꽃은 14.59%, 낙엽활엽수군집은 11.06%이었다. 현존식생을 고려하여 총 23개의 Belt-transect(BT)를 설치하였으며 신갈나무군집내에 9개소, 낙엽활엽수군집내에 3개소, 주목 군집내에 2개소, 훼손복원지내에 9개소를 설정하였다. 신갈나무군집내에 설정한 9개소는 종다양도 $0.4290{\sim}1.0496$, 종수 $7{\sim}22$종, 개체수$115{\sim}481$개체이었고 낙엽활엽수군집내에 설정한 3개 BT의 경우 종다양도 $0.6712{\sim}1.0096$ 종수 $14{\sim}17$종, 개체수 $158{\sim}453$개체이었다. 주목군집내에 설정한 2개 BT는 종다양도 $0.5413{\sim}0.9923$, 종수 $14{\sim}15$종, 개체수 $223{\sim}406$개체이었다. 훼손복원지내에 설정한 9개 BT는 종다양도 $0.1899{\sim}0.9217$, 종수 $3{\sim}23$종, 개체수 $105{\sim}485$개체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3) 소백산국립공원관리계획. 257쪽
  2.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6(2): 168-179
  3. 김정호(2005) 도시생태계 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토지이용계획기법 연구 -경기도 하남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1쪽
  4. 길봉섭, 김창환, 김영식(1994) 소백산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3: 73-120
  5.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 147-153
  6. 오구균, 최송현, 박상규, 김성현(2004) 백두대간 남덕유산-소사고개구간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67-174
  7. 이경재, 조우, 조재창(1993) 소백산국립공원 천동계곡의 삼림군집 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6(2): 134-146
  8. 이우철, 이은복, 유기억(1995) 소백산국립공원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33: 41-71
  9. 임경빈, 김갑태, 이경재, 김준선(1993) 소백산 비로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주목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6(2): 154-161
  10. 전재인(1987) 소백산 주목자생지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쪽
  11. 최홍근(1976) 소백산 산림자원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4쪽
  12. Brower, J. E and J. 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3. Curtis J. 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376-496
  14.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