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Research Libraries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 Kim, Sang-Ju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Hwang, Jae-Young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
  • Park, Kay-Sook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Choi, Ho-Nam (Team Director of Content Convergenc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김상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산정보과) ;
  • 황재영 (국방과학연구소 기술정보그룹) ;
  • 박계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업지원팀) ;
  • 최호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컨텐츠융합팀)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Evaluation indicators reflecting recent digital environments are needed as a tool to increase research library's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Especially, research libraries have different subject backgrounds and there are many one-person librar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new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draft indicators made in 2007 considering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so that it may be used easily and applicable to various research libraries. In developing the new indicators, we reviewed other library type's indicators and listened carefully to the comments from expert librarians in the research libraries through several meetings. After developing the indicators, we made a survey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and also made a test evaluation for research libraries. The proposed indicators will contribute in evaluating the current level of Korean research libraries and promoting them to the future-oriented libraries.

경쟁력 향상과 생산성 제고의 도구로서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전문도서관의 경우 다른 도서관과 달리 다양한 주제적 배경을 가지고 있고, 1인 운영 소규모 도서관도 많다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평가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작성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를 기초로 하여 이해하기 쉽고 적용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문도서관 평가지표는 선행연구와 타관종의 평가지표를 충분히 검토하였으며, 다양한 주제 분야 전문도서관 소속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수차례의 회의를 거쳐 완성되었다. 새 평가지표의 개발 후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평가지표 타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일부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도 실시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로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정착시킨다면, 새 평가지표는 전문도서관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미래 지향적 전문도서관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2007. 전문도서관의 사서 수 및 도서관 규모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 과학기술정보관리협의회. 2008. 전문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재개발. 서울: 문화관광부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3. 곽병희, 이두영. 2002. 디지털 환경에서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4): 257-296.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258
  4. 곽철완, 곽동철, 노동조, 노영희. 2008. 대학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47-170.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147
  5.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6.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08. 미발행 각종 내부 회의자료.
  7. 도서관평가위원회 전문도서관 소위원회. 2007.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서울: 문화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8. 문성빈, 이지연. 2006. 공공도서관 평가제도 연구. 학술발표논집, 21: 127-150.
  9. 박희숙. 2008.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서혜란. 2004. 미국의 대학평가인정기준에 나타나는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의 최근 동향. 한국비블리아, 15(2): 255-270.
  11. 윤희윤. 2001a. 국내 대학도서관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4): 45-75.
  12. 윤희윤. 2001b. 국내외 대학도서관 평가지표의 비교분석. 정보관리학회지, 18(3): 239-263.
  13. 윤희윤. 2001c. 대학도서관의 평가지표의 다의성과 지향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91-115.
  14. 조찬식. 2006. 의학도서관의 경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263-280.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대학도서관 평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6.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편. 2003. 전문도서관기준.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7. 홍명자. 2006.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345-373.
  18. 홍현진. 2005.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품질평가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하계학술발표, (2005): 121-147.
  19. 황재영, 이응봉, 김종환. 2007.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55-79.
  20. 황재영, 이응봉, 김종환. 2007. 디지털도서관의 e-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55-79.
  21. Medical Library Association. 2002. “Standards for Hospital Libraries 2002.” Journ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0(4): 465-472.
  22. Medical Library Association. 2005. “Standards for Hospital Libraries 2002 with 2004 Revisions.” Journ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3(2): 282-283.
  23. Poll, Roswitha. 2007. Quality Measures for Special Libraries. World Library and Information Congress: 73rd IFLA General Conference and Council, 19-23 August 2007, Durban, South Africa. .
  24. Poll, Roswitha and Peter te Boekhorst. 2007. Measuring Quality: Performance Measurement in Libraries. 2nd rev. ed. Munich: K.G. Saur.
  25. Spiller, David. 1998. UK Special Library Statistics: the Challenge of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from Libraries in the Workplace, 64th IFLA General Conference, 16-21 August 1998. Amsterdam, Netherlands. .

Cited by

  1.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Korean Speci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in the Year 2012 vol.47, pp.3,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3.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