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Study on Validity of SDLRS Instrument for Evaluation of Life-Long Outcome

  • 한지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Han, Ji-You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Inha University)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평생학습 능력의 중심 개념인 자기주도학습의 측정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여,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항목 중 평생학습 능력의 평가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즉,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공과대학 학생들의 개인 변인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평생학습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Gugliemino(1977)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의 기계공학 전공 학생들 21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사도구는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t검증, ANOVA에 의한 F검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58개의 원검사 도구는 7차례에 걸친 요인분석 결과 23개 문항으로 압축되었다. 또한 학습에 대한 사랑, 학습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기본학습기능과 독립성,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 주도성과 미래지향성, 독창성과 탐구적 특성의 7개 요인으로 재구조화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약 58%를 설명하였으며 Cronbach $\alpha$값은 .8332이었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분석 결과 학년, 산업체 근무기간, 대학원 진학계획, 학점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산업체 근무여부, 부모의 학력,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에는 보다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검사도구의 적용을 통해 검사도구간의 상관관계 및 평생학습에 영향을 주는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후속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평생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DLRS instrument and to prove up possibility of usage as an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life-long learning.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used to accomplish objectives of the study. 218 students i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of A university at Gyunggi province were responded for SDLRS(Guglielmino, 1977)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test. 58 items in original version instrument were converted to 23 items. There were 7 factors for asses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ccording to this measurement scale with a total variance of about 58%.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final 23 items was $\alpha$. The final 7 factors consisted of love for learning, openness for learning, self-perception, basic learning function and independence,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leadership and future directivity, and creativity and exploration. The result of SDLRS analysi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grade, period of employment in industry, entering graduate school or not, and GPA, but no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sexual difference, employment in industry or not, final academic level of parent, and income level of the family. In the future, final instrument will be needed to check in the respect of correlation with another ability and skill influencing on life-long learning, and more study will be done for developing life-long lear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희. 한상필. (2008). 텔레비전 광고의 창의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광고학 연구, 19(2)
  2. 김지자 외. (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2(1), 1-25
  3. 이윤옥.(2006). 자기주도학습 개념 분석 및 측정도구 개선방향에 관한 제언. 아동교육, 18(2), 19-30
  4. 한지영(2008).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1(1), 24-33
  5. Candy, P.(1991).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6. Cropley, A.J.(1978). Some guidelines for the reform of school curricula i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21-33
  7. Felder, R. M. & Brent, Rebecca.(2003). Designing and Teaching Courses to Satisfy the ABET Engineering Criteria.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2(1), 7-25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3.tb00734.x
  8. Flammer, G. H.(1978). Undergraduate foundations for lifelong learning. Presented at Career Management Life Long learning: ASEE Annual Conference
  9. Guglielmino, L. M.(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tiy of Georgia
  10. Litzinger, T.A., Marra, R.M.(2000). Lifelong Learning: Implications for Curricular Change and Assessment. Proceedings, 2000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11. Oddi, L.F..(198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2. Oddi, L.F..(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2), 97-107 https://doi.org/10.1177/0001848186036002004
  13. Rogers, G. M.(2003). Outcome-based Program Assessment. Rose-Hulman Institute Technology
  14. Shuman, L. J. etc.(2000). Defining the Outcomes: A Framework for EC-2000.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4(2)
  15. Taylor, B. (1995). Self-directed Learning: Revisiting an idea most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ERIC document ED 395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