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arents' Five Day Work Weeks and Family Leisure on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s

부모의 주 5일 근무 여부에 따른 가족여가활동 유형이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Kim, Min-Jung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 ;
  • Jang, Yoon-Ok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factors such as type and degree of family leisure among parents with five day work weeks on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s. Its findings are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525 male and female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 analysis and MANOV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Scheff{\acute{e}}$ tests for post-hoc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se parents work five days a week were at a higher level than other adolescents in terms of finances, family ties, communication, and social tie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adolescents' family strength by type of family leisure. Third, adolescents with more family leisure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others in the areas of manageable strengths, financial levels, family ties, communication, and family social ties. Fourth, among families following the five day working system, adolescents who had more family leisure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the others in regards to manageable strengths, financial levels, family ties, communication, and family social ties. Additionally, where adolescents thought they had fewer family leisure activities, family-oriented adolescents tended to be engaged in higher physical-activity-oriented and hobby-oriented activities in relation to manageable strengths, financial level, family ties, and communication and hobby-oriented adolescents engaged in higher than average amounts of physical-activity, strengthening family social ties in the process. Fifth, concerning families not adhering to the five day working system, adolescents who had more family leisure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others in terms of manageable strengths, financial levels, family ties, communication, and family social ties. As the above results indicate, family leisure activities appear to be a key factor influencing family strength. Therefore, further support should be extended toward developing new forms of family leisure and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devoted to the subject.

Keywords

References

  1. 곽태홍(2003).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활동 변화 : 대전시 금융회사 직원들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정(2006).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조(1990). 여가활동을 통한 건전생활의 실천방안. 사대논문 21('90.12), 1-16
  4. 김영숙(2002).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외숙(1991). 도시기혼여성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장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정운. 이누미야(2003). 여가생활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여가학연구, 1(1), 41-56
  7. 김정운. 최석호. 이장주(2004). 주 5일제와 여가정책. 제1회 한국여가문화학회 콜로키움 자료집(www.lculture.net)
  8. 김현주. 이창현. 박소라(2002). 주 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직장인들의 주말 여가 문화 이용 행태 변화 : 설문 조사를 통한 실시 집단과 비실시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주 5일 근무제 도입과 생활 문화의 변화. 제 1회 여가문화학회 포럼 자료집, 24-37
  9. 김현혜(2002). 대학기숙사생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제약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영춘(2005). 학교 주 5일제 수업 운영에 대한 학생. 학부 모. 교사의 요구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변영수(2007). 주 5일 근무제가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모창배(1993).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 신정출판사
  14. 삼성경제연구소(2001). 주 5일 근무 실시에 전제 조건. CEO Information. 서울 : (http://seriecon.seri.org/)
  15. 삼성경제연구소(2003). 주 5일제 근무와 소득과 여가에 대한 인식(2001년 3/4분기 소비자태도 부가조사).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16. 손나래(2005).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가계의 여가 및 여가비 지출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송강영(1999). 가정주부의 여가활동 참여와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안인준(2002). 주 5일 수업제가 남자중학생의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양성인(2002). 주5일 근무제가 도시근로자들의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영아(1997). 중산층의 가족여가활동 실태와 요구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22. 윤소영(2002). 주 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가족관계의 변화 : 실시집단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국여가문화학회 제1회 여가문화 포럼 자료집, 1-12
  23. 이기영. 김외숙. 구혜령(1995). 부부의 공유 여가시간과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3(3), 113-126
  24. 이만형(2002).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민아(2006).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승호(2005). 중학교 주 5일 수업제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비교.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이영훈(2002). 근로시간 단축이 여가생활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수현(2002).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주부의 여가생활 및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정연(1997). 여가활동이 여가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태진(2002). 가족여가활동이 가족체계역동성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후원(1993). 여가활동참여유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연구 : 서울시내 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지영숙. 이태진(2001). 도시 가정의 가족여가 유형 : 자녀 교육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33. 최균호(2003). 더 적게 일하면 불행해지는가. 한국여가문화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105-116
  34. 최길례(2003).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175-184
  35. 최소영(2004). 가족여가 참여 정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최숙경(2005). 주 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37. 최윤형(2003). 주 5일 근무제가 직장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39. 통계청(2006). 2006 국민여가조사. 서울 : 통계청
  40. 하헌국(1995). 가족 여가지향성이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18(2), 105-124
  41. 홍성화(2003). 가족단위 여가활동 참여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 주 5일 근무제 실시집단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 57-72
  42. Orthner, D. K. & Mancini, J. A.(1990). Leisure impacts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s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 138-149
  43. Olson, D. H.(1986). Cirumplex Model VII : Validation studies and FACES II.. Family Process, 25, 337-35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6.00337.x
  44. Ragheb, M. G. &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4), 295-306 https://doi.org/10.1080/00222216.1982.11969527
  45. Robertson, B. J(1999). Leisure and family : perspectives of male adolescents who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a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1(4), 335-358 https://doi.org/10.1080/00222216.1999.11949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