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Potential Discharge to Supply the Stream Water Discharge in Paldang Dam by Dam Operation

댐 운용을 통한 팔당댐의 하천용수 공급가능량 분석

  • 최계운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영규 (인천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함명수 (인천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황영만 (인천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stream flows are defined as the stream flows needed to protect and preserve instream resources and values. They are supplied by the essential discharge for maintaining the channel.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ecipitation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usually between the months of January and April, natural flows are not enough for the instream flows, thus leaving the dams at a shortage.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will be discussed will show a physical way to improve water quality by the dilution of water that is supplied from a reservoir or dam, and how it is analyzed at the Han River basin. For the sake of this analysis, the basin has been divided into 33 catchments. Each catchment's natural flow has been simulated by SWAT-K, and the future water demand has been estimated using statistical data. It has also been assumed that the Han River basin has two large reservoirs(Chung-ju dam, and So-yang dam). The supply of potential discharge has been calculated using a case of water separately from each dam, as well as supply water from both dams.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으로 특정지점에 필수적으로 공급해야 할 유량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량의 계절적 편기가 심하기 때문에 갈수기인 1월부터 4월까지 강수량이 극히 부족하여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기간 중에 자연유출량으로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댐의 저수유량을 이용하여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에 하천유지유량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수질 악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류의 대규모 저류지로부터 하천유지유량과 추가 공급이 가능한 유량에 대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한강유역을 총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SWAT-K를 이용하여 각 소유역에서 발생되는 자연유출량을 모의하였으며, 용수수요량은 과거 용수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수요량을 추정하였다. 팔당댐지점에 유량을 공급하는 대규모 저류지는 남한강의 충주댐과 북한강의 소양강댐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댐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와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하천용수 공급가능량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산업기지개발공사(1978) 한강유역조사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97) 기존댐 용수공급능력조사(한강 수계) 보고서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9) 수자원계 획의 최적화 연구(III)
  5. 과학기술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사업 -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기술 개발보고서
  6.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 (2007)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 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33-542
  7. 한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07) 유 역내 하천유지 가능유하량 해석 최종보고서
  8. 한국농촌공사 (1974-2003)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내역
  9. 한국수자원공사 (1990) 한강유역조사
  10. 환경부 (1995-2004) 상수도 통계연보
  11. Arnold, J. G., J. R. Williams, A. D. Nicks, and N. B. Sammons (1990). SWRRB: A Basin Scale Simulation Model for Soi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exas A&M Univ. Press, College S tation, TX
  12. Williams, J. R., A. D. Nicks, and J. G. Arnold (1985). Simulator for Water Resources in Rural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1, No. 6, pp. 970-986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5)111:6(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