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mediation in Tradition Theatrical Stage Design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의 재매개

  • 정민수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For decades, we have filled our theme parks, shopping malls, a streets and etc. with complementary or competing medias. These spaces have remedied newspapers, magazines, radio, TV and film or have been the object for remediation. Because there has been no remediation in traditional theatrical stage design, many problems come along with the design, which makes audiences hard to feel the sense of presence. It's time to have systematic research to find a way out for the solution of traditional theatrical stage design.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for remediation of traditional theatrical stage design, so we are going to research with laying emphasis on the cooperative works between the fields of theatrical stage design and the Visual Effects par that forms extensive and diverse portions. The proposal for remediation of traditional theatrical stage design with practical use of Visual Effects will create economical higher value-added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close and cooperative work between the fields of Visual Effects and theatrical stage design. In addition,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operation of these two parts will make another communicative paradigm that audiences have never been able to experience before in traditional theatrical stage design.

수십 년 동안 우리는 테마파크, 쇼핑몰, 길거리 등에 이를 보완하는 미디어나 이와 경쟁하는 미디어들을 채워왔다. 이런 공간들은 신문과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를 재매개(remediation)하거나 이것들의 재매개(remediation) 대상이 되어왔다.[5] 하지만,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은 재매개(remediation)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로인해서 관람자에게 현전감(sense of presence)을 느끼게 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고 있다.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재매개(remediation)의 체계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연극무대디자인을 재매개(remediation)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광범위하고 다양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시각효과(Visual Effects)분야와 연극무대디자인분야의 협업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시각효과(Visual Effects)를 활용한 전통적 연극 무대디자인의 재매개(remediation) 제안은 두 학문 간의 긴밀한 협업의 체계화를 통한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또한 두 학문 분야의 협업의 체계화는 전통적 연극 무대디자인분야에서 관객들이 경험할 수 없었던 또 다른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준, "상징적 무대디자인을 위한 극장 공간의 연구", pp.40-45, 2004.
  2. G. B. Oscar and J. H. Frankklin, History of the Theatre-9th ed, Allyn and Bacon, 2003.
  3. M. Iain, "Architecture Actor & Audience," Routledge, p.144, 1993.
  4. R. Francis, Designing for the Theatre, A & C Black, 1998.
  5. D. B. Jay and G. Richard,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1999.
  6. http://www.gsaim.cau.ac.kr/sfxlab
  7. 김성혜, "디지털영상제작에 있어서의 편집과 특수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제5호, pp.114-124, 2000.
  8. 부산멀티미디어지원센터, 모션캡처교육교재, 2004.
  9. 강대영, 한국분장예술, 1999.
  10. 장미숙, 양숙희,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 분장 연구", p.142, 2005.
  11. 권경숙, "영상이미지 제작에 있어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pp.11-20, 1998.
  12. 한동수, 영화와 컴퓨터그래픽스, 에프원출판사, 1995.
  13. 배종광, "영화 특수 효과의 세계", 정보처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41-50, 2004.
  14. http://www.sm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