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통근권역의 통행행태 분석

Travel Behavior Analysis of KTX Commuter Belt

  • 발행 : 2008.08.30

초록

교통계획을 수립하는 계획가들은 그동안 출퇴근 교통수단의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본 논문은 경부축 고속철도 등장이후 지역간 통행체계의 변화된 통근행태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코레일의 2004년$\sim$2008년 간의 자료이다. KTX 정기권 이용자의 등장으로 인해 그동안의 정성적인 추정이 아닌 계량적인 분석을 통해 통근권 변화에 대해서 거리대, 시간대, 운임수준 및 기종점 통행패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KTX로 인해 통근거리는 길어졌지만 통행시간 감소로 인한 편익을 인식하게 되면서 정기권 이용자의 통근권역이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

Transportation planners are increasingly adopting policies aimed at changing travel choices made by general commuter. Theor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speed technology and transport address changes in travel behavior of regional commuter due to alterations in the Kyung-Bu railroad transportation corrid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behavior and high-speed technology. The KORAIL data allows u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ravel characteristics that are usually hard to discern by guesswork. The effects of travel ti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full decisions that control for commuting KTX. Although many argue that transportation behavior cannot be change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bout 4 years of behavioral data on KTX travel show otherwise. In this paper we explore several possibilities to fill in some of the gaps in our knowledge on the expansion of commuter belt.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개발연구원(2000), 고속철도 개통 및 항공망의 확충에 대비 한 지역간 버스의 기능정립방안.
  2. 교통개발연구원(2004), 광역철도사업 제도개선방안.
  3. 국토연구원(2005), 고속철도와 국토공간 구조의 변화(I).
  4. 김규화(1989), 광역통근권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토목 공학과 도시공학전공 석사학위논문.
  5. 문병섭(1999), 통행시간변화를 고려하는 신뢰도 통행배정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46권, pp. 69-78.
  6. 임강원(1975), 공간적 분포형태에 따른 평균 통행거리와 적정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연구, 환경논총 제2권 제1호, pp. 163-180.
  7. 한국교통연구원(2005), 지역간 통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고속 철도 이용증대방안 연구.
  8.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3), 고속철도의 성공적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실행방안 수립.
  9.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4), 철도영업정책 효율성 향상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