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교사의 구강보건실태와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Dent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s about Preschoolchildren Dental Health Care

  • Lee, Hyang-N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wang-Ju Health College University) ;
  • Shim, Hyung-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wang-Ju Health College University)
  • 투고 : 2008.08.06
  • 심사 : 2008.12.11
  • 발행 : 2008.12.24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구강건강관리실태 및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유아구강교육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0곳의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 52.9%로 가장 많았고, 일일 칫솔질 횟수는 3회가 67.1%, 치실질 횟수는 49.3%였다. 가장 많이 사용한 구강위생용품으로는 구강양치용액으로 51.4%였고, 인지하고 있는 구강내 문제는 치아우식증이 45.7%로 가장 높았고, 지각과민증이 30.7%였다. 2. 정기적인 구강검사는 93.6%가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고, 구강검사결과를 부모에게 통보하는 경우도 78.6%였으며, 통보 후 치료했는지 확인하는 경우는 60.7%였다. 일과 중 규칙적인 칫솔질 시간이 있는 경우가 95.0%였고, 구강건강과 음식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93.6%였다. 3. 교사의 학력별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으로는 전문대학졸업이하에서 현재구강건강관리의 유효성(p < 0.05)과 유치치료필요성에서 대학교졸업이상군에서보다 높았으며, 구강보건전문가로부터의 교육을 받은 경험, 구강보건전문가로부터의 교육 필요성인지, 구강보건관련체험행사 참여의사(p < 0.01), 불소 및 실런트 인지, 치아건강을 고려한 간식제공부분에서 높았다. 유아구강보건관리에서 교사 역할을 전문대학 이하에서는 중요하다가 가장 높았고, 대학교이상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가 가장 높았다(p < 0.05). 구강관리의 주된 습득경로로는 두 군에서 치과가 가장 높았으며, 바람직한 구강보건교육담당자는 치과병의원인력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구강보건의 중요도도 매우 높다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4. 교사의 경력별 유아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은 현재 구강건강관리방식의 유효성과 구강보건교육경험, 교육필요성, 구강보건관련체험행사의 참여의사, 불소 및 실런트 인지, 유치치료의 필요성, 구강건강을 고려한 간식제공 등에서 6년 이상 경력자가 가장 높았지만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강보건관련지식의 습득은 3년 이하에서는 인터넷, 4-5년에서는 신문TV, 6년 이상에서는 치과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적임자로는 경력별로 치과병의원인력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구강보건에 대한 중요성에 대하여 모든 군에서 매우 중요하다가 가장 많았지만 군별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아들의 구강보건관리를 위하여 더 많은 교육자료의 개발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 구강보건교육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data about dental health to develop childrens'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is research surved from from 22 July 2008 to 11 August 2008 and questionaire given to 140 teacher from Gwangsan-gu and Buk-gu and Dong-gu in Gwangju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ntal health condition which teacher is recognizing is most with the facility 52.9% which is healthy, one day toothbrush qualitative number of times 3 times 67.1% and the dental floss qualitative number of times is 49.3%. Uses most the oral hygiene device which plentifully is 51.4% with the dental gargle solution, the dental problem which is knowing dental caries with 45.7% to be highest, perception dental sensitivity was 30.7%. 2. Periodical dental prosecuting says that 93.6% is executing, also the case which a dental inspection result in the parents notifies was 78.6%, after notifying treat, the case which confirms was 60.7%. The case which is the toothbrush qualitative time which is systematic was 95.0%, about dental healthily and food the case which executes an education was 93.6%. 3.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by infantile dental health care of teacher with recognition currently the effectiveness of dental health care is higher from below junior college graduating (p < 0.05). dental hygienic relation experience event participation intention (p < 0.01) comes from the above of university graduation from infantile dental health care from important degree of teacher role was higher the junior college graduation group (p < 0.05). 4. Recognition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ich is beneficial with an educational background by about career by infantile dental health care of teacher. For the buccal cavity hygiene management of the infants thinks with the fact tha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ar material and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eacher buccal cavity hygiene education will be necessa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