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Picture Book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on Preschool Children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이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Won (Department of Childhood Care &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
  • Sea, Jeong-So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en's University) ;
  • Kim, You-J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eongin Women's College) ;
  • Nam, Gue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Konkuk University)
  • 김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 ;
  • 서정숙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유정 (경인여자대학 유아교육과) ;
  • 남규 (건국대학교 교직과)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icture book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ssess preschool children's recognition of and attitude towards picture books. The subjects were 56 five-year-old children, 30 of whom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to the control group. The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lasted for 14 weeks. The contro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on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Children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concepts, preferences, and attitudes towards picture 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control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eveloped enhanced and richer concepts of picture books, displayed specific preferences, and put forward clearer reasons for their preference. ANCOVA result showed significant overal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trgram displayed more voluntary and active reading and applied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to their real life situ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진(199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 연구-소집단 그림책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은진, 박혜경, 정대련(2005). 그림읽기 중심 문학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이야기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5(5), 207-225
  3. 김세희(2000). 유아문학교육. 파주: 양서원
  4. 김소연(2000).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수정(1998).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에 따른 유아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양선(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영미(1986). 유아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표현방법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희(1998). 전래동화에 대한 어머니와 유아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현희, 박상희(1999). 유아문학교육. 서울: 학지사
  10. 나지은(2000). 그림책의 그림 유형에 따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남미영(2000). 엄마가 어떻게 독서지도를 할까. 서울: 대교출판
  12. 변윤희, 현은자(2002).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그림책의 글과 그림 읽기. 유아교육연구, 22(2), 339-362
  13. 서정숙(2004). '유기체로서의 그림책'분석을 위한 기준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5(1), 1-36
  14. 서정숙, 김정원(2008).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서울: 창지사
  15. 서정숙, 김정원, 남규(2006). 그림책 중심의 문학교육 프로그 램이 유아의 문학적 능력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6), 103-127
  16. 서정숙, 남규(2005). 그림책으로 하는 유아문학교육. 서울: 창지사
  17. 신현숙(2000). 그림이야기 장르에 따른 만 3세와 5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정옥(2001). 그림책의 그림 읽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시각적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기숙, 김정원, 이현숙, 전선옥(2008). 영유아교육과정. 고양: 공동체
  20. 이순옥(1996). 그림이야기책의 작품 유형과 판형 모양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임현희(2001).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4, 5세 유아의 반응 연구: 언어, 행동반응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장영숙, 윤경아(2005).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감상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3), 97-110
  23. 장지영(1995).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전효훈(2000).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에 대한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정영숙, 이종한, 배일섭, 이상복, 박충선(1998). 사회과학조사 방법론.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6. 최지희(2003).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이 유아의 그림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현은자, 김세희, 김현희, 서정숙(2000). 어린이 도서상 제정을 위한 기반 연구. 어린이 미디어상 제정을 위한 기반 연구 (pp. 7-127). 서울: 창지사
  28. 현은자, 변윤희, 강은진, 심향분(2004). 그림책의 그림읽기. 서울: 마루벌
  29. 홍선희(2000). 그림책 장르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의 연령별 비교.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0. Arizpe, E., & Styles, M.(2003). Children reading pictures: Interpreting visual texts. London: Routledge Falmer
  31. Cianciolo, P. J.(1987). Developing the beginning reading process with picture book.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280013
  32. Cullinan, B. E., & Galda, L.(1994). Literature and the child. (5th ed.).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33. Eisner, E. W.(1995). 학문기초 미술교육운동. 김인용, 김대현(공역). 서울: 학지사. (1987년 원저발간)
  34. Glazer, J. I.(1991).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35. Glazer, J. I.(1997).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New York, NY: Prentice Hall Cooperation
  36. Goodman, Y.(1986). Children coming to know literacy. In W. H. Teale & E.Sulzby (Eds.), Emergent literacy: Reading and writing(pp. 1-14). Norwood, NJ: Ablex
  37. House, C. A., & Rule, A. C.(2005) Preschoolers' ideas of what makes a picture book illustration beautiful.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2(5), 283-290 https://doi.org/10.1007/s10643-004-1022-7
  38. Jalongo, M. R.(2006). Early childhood language art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39. Kiefer, B. Z.(1995). The potential of picturebooks: From visual literacy to aesthetic understanding. Englewood Cliffs, NJ: Merrill Prentice Hall
  40. Lehr, S. S.(1991). The child's developing sense of theme: Responses to Literatur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1. McGee, L. M., & Richgels, D. J.(2000). 영유아의 문해발 달 및 교육. 김명순, 신유림 (공역). 서울: 학지사. (1996년 원저발간)
  42. Nevinskas, N.(2004). Keats's creation. School Arts: The Art Education Magzine for Teachers, 103(6), 28
  43. Nikolajeva, M., & Scott, C.(2001). How picturebooks work. New York: Garland
  44. Nodelman, P.(1988).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London: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45. Pellegrini, A. D.(1990). Joint reading between black head start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ild Development, 61(2), 443-453 https://doi.org/10.2307/1131106
  46. Ramsey, I. L.(1982). Effect of art style on children's picture preferenc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5(4), 237-240 https://doi.org/10.1080/00220671.1982.10885387
  47. Robinson, C. C.(1995). Picturebook reading at home: A comparison of head start and middle-class preschooler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6(3), 241-25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603_3
  48. Rosenblatt, L. M.(1978).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The transactional theory of the literary work. Carbondale,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49. Rosenblatt, L. M.(1991). Literature - S. O. S. Language Arts, 68(6), 444-448
  50. Schwarcz, J. H., & Schwarcz, C.(1991). The picture book comes of ag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51. Stoddard, S.(1989-1990). Looking, talking, and experiencing art with preschoolers. Working Papers in Art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05242
  52. Taylor, D., & Strickland, D. S.(1986). Family storybook read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271740
  53. Zarrillo, J., & Cox, C.(1992). Efferent and aesthetic teaching. In stance and J. Many & C. Cox (Eds.), Stance and literary understanding: Exploring the theories, research and practice(pp. 239-245). Norwood, NJ: Ab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