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로 지체를 고려한 통행시간함수 개발

Development of Travel Time Functions Considering Intersection Dela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교차로 지체를 고려한 통행시간함수를 개발하고, 이를 도시가로망에 적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기존 통행배정 모형이 교차로 지체를 적절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링크의 통행시간을 구간 순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으로 구분하고, 청주시 주행속도, 교통량, 기하구조 및 신호운영 자료 등을 수집하여 계획단계에 적절한 구간 순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 산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행배정 단계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로 지체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교차로의 녹색시간비 대신 접근로의 차로수비율을 교차로 유형별로 보정한 후, 이를 실제 녹색시간비율과의 t-검정을 시행하여, 평균값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보정 차로수비율을 모형구축에 적용하였다. 둘째, 기존의 BPR모형과 보정 차로수비를 이용한 균일지체기반 수정모형 및 Webster기반 수정모형을 청주시 가로망에 EMME/2를 활용하여 통행배정하여 주행속도 조사자료와 비교한 결과, BPR모형은 교차로 지체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균일지체기반 수정모형과 Webster기반 수정모형은 관측된 조사자료에 보다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이들 모형의 배정결과와 실측 통행시간, 교통량, 평균통행속도간 통계검증 결과 통행시간 분리모형이 BPR모형 보다 실측치와의 통계적 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ravel time functions based on intersection delay and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the functions to traffic assignment models. The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existing assignment models can not effectively account for intersection delay time. In pursuing the goals,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dividing the link travel time into link moving time and stopped time at node, making the models based on such variables as the travel speed, volume, geometry, and signal data of signalized intersections in Cheongju, and analyzing the applicability of these models to traffic assignment. There are several major findings. First, the study presents the revised percentage of lanes (considering type of intersection) instead of g/C for calculating intersection delay, which is analyzed to be significant in the paired t-test. Second, the assigned results of applying these models to the Cheongju network in EMME/2 are compared with the data observed from a test car survey in Cheongju. The analyses show that the BPR models do not consider the intersection delay, but the modified uniform delay model and modified Webster model are comparatively well fitted to the observed data. Finally, the assigned results of applying these models are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test car survey data in assigned volume, travel time, and average spe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s from the divided travel time model are better fitted to observed data than those from the BPR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익.박창호(1998), "도로유형별 지체함수 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17-131
  2. 김형진.이연화(2004), "통행배정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도로용량 산출방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4D호, 대한토목학회
  3. 이의인(1986), "링크체증함수 및 일반화비용함수의 적용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임강원.임용택(2003), "교통망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5. 주정열(1993), "통행배정모형의 도로용량함수 비교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최기주(1986), "용량저항함수의 비교분석 및 그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ALAN J. HOROWITZ(1991), "Delay-Volume Relations for Travel Forecasting:Based on the 1985 Highway Capacity Manual",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8. Athanasios K. Ziliaskopoulos, Hani S. Mahmassani(1996), "A note on least time path computation considering delays and prohibitions for intersection move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pp.359-367
  9. Hai Yang, Sam Yagar(1995), "Traffic Assignment and Signal Control in Saturated Road Network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p.125-139
  10. Hedayat Z. Aashtiani(1999), "Use of Intersection Delay Functions to Improve Reliability of Traffic Assignment Model", 14th Annual International EMME/2 Conference Chicago, Illinois
  11. Henk Taale(2001), "Testing the HCM 1997 Delay Function for DUTCH Signal Controlled Intersections", 80th Annual Meeting of the TRB
  12. Horowitz, Ajan J(1991), "Delay-Volume Relation for Travel Forecasting, Based on the 1985 Highway Capacity Manual",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13. IAN TAYLOR & PETER WILLOUGHBY (1998), "Junction Modelling in EMME/2", 7th European EMME/2 Users Conference
  14. R O'N Hill MSc, MEngSc, MOPENZ(1998), "An application of EMME/2 auto-assignment with detailed modeling of activity at node", Waitakere Eco City, New Zealand
  15. Spiess, Heinz(1989), "Conical Volume Delay Function", Publication #628, Transportation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Montreal, Canada
  16. Wu Sun(2000), "Traffic Assignment in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79th Annual Meeting of the T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