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역세권에서의 토지이용 및 도시설계특성이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s of Land Use and Urban Design Characteristics on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 발행 : 2008.08.31

초록

도시의 무분별한 확대를 방지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TOD)이다. 이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여러 구성요소가 조화롭게 개발되는 계획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밀도(Density) 및 다양성(Diversity) 등의 토지이용특성과 가로망 및 건물형성 등의 도시설계특성이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토지이용특성과 도시설계특성을 대변하는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찰하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총 32개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7개의 요인을 도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업무 및 상업중심의 고밀도 특성과 토지이용의 복합화, 그리고 협소한 가로망이 밀집되어 있는 특성은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매우 큰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신도시개발시 또는 기존 역세권을 정비할 때 이와 같은 요소의 반영은 대중교통의 이용을 증대시켜 대중교통중심도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One of the efforts both to prevent urban sprawling development patterns and to promot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known as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ncluding such planning elements as the density and diversity of land use and pedestrian-friendly urban design around a transit center. The aim of this study is thus to conduct impact analyse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and draw out various actual elements of TOD planning by using GIS-based data and Smart Card data. Then the authors analyze impact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for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After condensing 34 variables presumably influencing transit ridership into seven factors by using factor analyses, the study utilizes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methods to identify their impacts on transit ridership.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ransit ridership tends to increase more in rail station areas where there is a non-residential high density, mixed use of land and narrow and small-size road network patterns. The implementation of TODs should be a useful method in inducing a Transit-Oriented City through redevelopment and new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백경무(2000), "대중교통 위주의 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성현곤.권영종(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3. 성현곤.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19-29
  4. 이창무.김흥순.김미경(2007),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5. 임주호(2006), "도시철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역세권 토지이용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Calthrope, P(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7. Cervero, R. and C. Radisch(1996), "Travel Choices in Pedestrian Versus Automobile Oriented. Neighborhoods", Transport Policy, Vol. 3, pp.127-141 https://doi.org/10.1016/0967-070X(96)00016-9
  8. Cervero, R(1996), "Mixed Land Uses and Commuting: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0, 5: 361-377
  9. Downs, Anthony(1994), "New Visions for Metropolitan America", The Bookings Institution
  10. Ewing, R. and R. Cervero(2001),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A. Synthe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780, pp.87-114. FHWA
  11. Handy, S.(1993), "Regional Versus Local Accessibility: Implications for Nonwork Trav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0, pp.58-66
  12. Krizek, K(2003), "Residential relocation and changes in urban travel: Does neighborhood- scale urban form matter?",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9
  13. Lawrence D. F., Martin A. A., Thomas L. S.(2004), "Obesity Relationship with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in Ca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ecine, Volume 27(2)
  14. Vojnovic, I., Jackson-Elmoore, C., and Bruch. S.(2006), "The Renewed Interest in Urban Form and Public Health: Promoting Increased Physical Activity in Michigan", Cities, Vol.23(1): pp.1-17 https://doi.org/10.1016/j.cities.2005.07.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