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개 보건소 당뇨교실 이용 환자의 참가율이 혈당변화에 미치는 영향

Blood Glucose Change and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Diabetes Mellitus Class of a Public Health Center

  • 황영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감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Hwang, Y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S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6.30

초록

및 결론본 연구는 일개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당뇨교실에 대하여 참가율과 건강실천행위정도, 참가율과 혈당조절정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2005년 1월부터 시작하여 2006년 3월까지 월 1회 실시하는 보건소 당뇨교실에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당뇨교실의 이용정도에서 당뇨병환자 참가자의 67.3%가 50%이상 참가하였다. 당뇨교실 전후 무작위 혈당의 변화량은 176mg/dl에서 156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당뇨교실을 50%이상 이용한 군과 미만으로 이용한 군사이에 있어서 혈당의 변화는 50%미만으로 이용한 군에서는 182mg/dl에서 155mg/dl로, 50%이상 이용한 군에서는 172mg/dl에서 156mg/dl으로 감소하였으나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이상의 결과 보건소 당뇨교실 최초 등록 시 혈당과 마지막 측정 혈당의 변화량은 176mg/dl에서 156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당뇨병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보건소 당뇨교실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활성화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Recently the care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important as much as that of cancer care in public health, so the control of diabetes mellitus(DM) which is a risk factor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en also important consideration.class(DM class) of a health center.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4 participants of DM class in a health center that had been held once a month,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06.Results: Among the DM class participants, 67.3% participated by 50% or over in the DM clas.participants(p<0.05). In a comparison betwen more than 50% participation group and les than 50% participation group, more than 50% participation group got decreased level of blood sugar from 182mg/dl to 155mg/dl and less than 50% participation group also got decreased level from 172mg/dl to 156mg/dl. But Conclusion: DM clas of health center was effective program to manage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co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민헌기. 임상내분비학. 서울. 고려의학, 1999, 쪽 225-273
  2.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보고서: 검진부문 - 당뇨병. 2007. 쪽 129-164
  3. Edelman SV. Importance of glucose control. Med Clin North Am 1998;82(4):665-687 https://doi.org/10.1016/S0025-7125(05)70019-5
  4. 보건복지부. 2006년도 주요 만성질환 관리사업 지침, 2006
  5. Cho IH, Lee TY, Seong SG. Effects on exercise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exercise education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Rural Med 2004;29(1):185-194(Korean)
  6. 이용화. 임상운동 프로그램이 성인형 당뇨환자의 혈당과 혈청지질 및 대퇴근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학박사학위 논문, 1999
  7. 정준현 유산소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이 노인 당뇨병환자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체육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4
  8. 이상종. 대한내분비학회 특강: 당뇨병관리에서 당뇨병교육의 필요성. 당뇨병 1994;18(S2):1-3
  9. Lee HR. The effect of a diabetic group teach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3;23(2):170-186(Korean)
  10. 김목현. 대한내분비학회 특강: 당뇨병교육의 중요성과 교육자의 역할. 당뇨병 1995; 9(S2):1-3
  11. 차봉연. 대한내분비학회 특강: 자가관리 교육. 당뇨병. 1997; 21(S3):137-144
  12. Tulchinsky T, Varavikova E. The new public health. Academic press, San Diego, 2000
  13. Lim BD, Chun BY, Kam S, Im JS, Park SW, Park JH. Visit days, prescription days and medical expenses of hypertensive patients. Korean J Prev Med 2002;35(4):340-350(Korean)
  14. 김태연. 당뇨병환자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2
  15. 이혜진. 보건소 영양교육에 참여한 제 2형 당 뇨병환자의 혈당조절지표와 식사섭취상애, 영양지식인지도 및 영양교육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