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Field Investigation System (FIS) loading Image Data for Digital Forest Type Mapping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권수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성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Yoo, Byungoh (Div. of Forest Resources Inventor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won, Sudeok (Div. of Forest Resources Inventor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gho (Div. of Forest Resources Inventor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08.07.01
  • 심사 : 2008.07.23
  • 발행 : 2008.09.29

초록

본 연구는 Tablet PC를 기반으로 정밀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현장조사용 맞춤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FIS의 주요 개발내용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FIS는 GPS에서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 Data에서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정보의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임상편집 뿐만 아니라 메모 및 야장도구를 통해 여러 가지 정보들을 현장에서 손쉽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측정도구로 거리와 면적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현장조사가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현장작업의 생산력이 향상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ablet PC based customizing system for fine mapping of forest cover type. The majo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FI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eld Investigation System (FIS) has a merit of accessibility to display exact location in various spatial data with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FIS can be used to record and manage many field information on which field investigation is done, with the help of the memo tool, field-sheet tool, calculating distance and area with measuring tool as well as editing forest type. It is possible to do field investigation effectively using FIS developed in this study. Accordingly, investigation and time costs can be reduced and field-work productivity will be improv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준범, 조명희, 김인호, 김영걸. 2003. IKONOS 위성영상과 GPS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피해지역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2(4): 362-366.
  2. 김철민. 2004. 수치임상도 접합에 의한 우리나라 산림정보지도 제작.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3. 석수일, 이헌호, 이도형. 2007. PDA기반의 산림지리정보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6(1): 7-13.
  4. 유병오, 권수덕, 공지수. 2008.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을 활용한 현장 적용성 검토. 한국산림자원측정학회학술발표회. 29-31.
  5. 이승호. 1999. 산림자원조사에 원격탐사 및 GIS 기술 적용. 한국산림측정학회지 2(2): 32-44.
  6. 이헌호, 이도형, 석수일. 2006. PDA기반의 산림자원조사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6): 690-695.
  7. 이준우, 김명준. 2003. GPS와 GIS를 이용한 임도의 차량 주행속도별 위험구간 예측 응용프로그램 개발. 한국임학회지. 92(4): 380-387.
  8. Donetis, M.D. and Bruciatelli, L. 2006. MAP IT: The GIS software for field mapping with tablet pc. Computes & Geoscience vol. 32. Issue 5. 673-680. https://doi.org/10.1016/j.cageo.2005.09.003
  9. ESRI. 2007. ESRI Support Center. http://www.Esri.com (2007. 7. 23).
  10. Fujitsu. 2007. Lifebook P1610PRM. http://www.Fujitsu.com (2007. 7. 2).
  11. Niemi, N.A., Sheehan, D.D., Akciz, S.O., Hodges, K.V., Nguyen, H.L.Q., Carr, C.R.E., Hutchison, W.E., Studnickigizbert, C., Burchfiel, B.C. and Whipple, K.X. 2002. Incorporating handheld computers and pocket GIS into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field geology curriculum. In: Proceedings of GSA Annual Meeting, Denver, pp. 133-136 (http://www.geosociety.org/Meeting/2002/).
  12. Rousen. 2007. Rousen EZwings PC S/W. http://www.Rousen. com (2007. 8. 6).
  13. Trimble. 2007. Support & Training. http://www.Trimble.com (2007. 8. 6).
  14. Walker, J.D., Black, R.A., 2002. Mapping the outcrop. Geotimes 45(11): 2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