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관상감의 직제 및 시험 제도에 관한 연구: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 이기원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Lee, Ki-Won (Department of Astronomy and Atmospheric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2.29

초록

조선(朝鮮)시대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왕립기관이었다. 그 왕립기관은 학문에 따라 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그리고 명과학(命課學) 세 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천문학 부서는 오늘날 지구과학의 학문 분야들과도 일맥상통하는 업무들을 수행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관상감의 직제와 시험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상감은 조선시대 왕립기관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직제, 기능, 그리고 과거시험(科擧試驗)에 관한 규정들은 그 시대에 발간된 법전들에 법으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법전들, 관서지들, 그리고 실록(實錄)의 기록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먼저 우리는 관상감은 인원수의 규모면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더 큰 규모임을 알았다. 왜냐하면 관상감 인원의 추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있어서는 서리(胥吏), 관노비, 장인(匠人)등과 같은 하급계층들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관상감 관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내용에 있어서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첫 번째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관상감을 포함한 당시 예전(禮典)에 속했던 기관들의 과거시험에 적용되었던 몇 가지 시험 규정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Gwansanggam(觀象監) was a royal offic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which was in charge of astronomy(天文), geographical feature(地理), calendar-making(曆數), fortune telling(占算), meteorological observation(測候), and so forth. The royal office consisted of three divisions according to the studies (學): Astronomy(天文學), Geography(地理學), and Astrology(命課學). Among them, the Astronomy division carried out the works corresponding partly with academic fields of Earth Science nowada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wansanggam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Because Gwansanggam was one of royal offices, the organization, functions, and the rules of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科擧試驗) were stipulated in cod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From various codes, official books, and records of Sillok(實錄), we firstly find that the scale of Gwansanggam in the number of officials was larger than the known one because the number of petty officials (胥吏), slaves, and artisans (匠人) were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Next, we conduct research on the textbooks used in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of Gwansanggam, particularly of the Astronomy division. Despite of the shortness in contents, we estimate that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attempt to the study on the examination textbooks of Gwansanggam. Finally, we also make some introductions on the regulations applied to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s of the offices belonging to manual rites (禮典) including Gwansanggam.

키워드

참고문헌

  1. 觀象監, 1793, 辛亥啓下觀象監釐正節目(奎 2222). 觀象監, 漢陽, 14張
  2. 觀象監, 1885, 雲觀榜目(奎 古大 5120 130). 觀象監, 漢陽, 58張
  3. 觀象監, 미상(19C), 雲觀先生案(奎 古大 5120 131). 觀象監, 漢陽, 3卷 3冊
  4. 김기협, 1989, 서운관지: 권지이 치력.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28-135
  5. 김수길, 윤상철 역, 2006, 天文類抄. 대유학당, 서울, 511 p
  6. 나일성, 1989, 서운관지: 권지일 번규.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36-144
  7. 南秉吉, 1860, 時憲紀要(奎 11663). 觀象監, 漢陽, 2卷 2冊
  8. 민족문화추진회 편찬, 2000, 이재유고. 민족문화추진회, 서울, 587 p
  9. 박성래, 1989a, 서운관지: 권지삼 고사.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36-144
  10. 박성래, 1989b, 서운관지: 서론.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09-111
  11. 법제처, 1965, 속대전. 법제처, 330 p
  12. 법제처, 1971, 대전통편 상.하권. 법제처, 서울, 716 p
  13. 법제처, 1974, 육전조례 예전.공전. 법제처, 서울, 1책
  14. 사회과학원고전연구실, 1991, 북역고려사. 신서원, 서울, 11책
  15. 서울大學校奎章閣, 1993,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8冊
  16. 서울大學校奎章閣, 1997, 經國大典(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614 p
  17. 서울大學校奎章閣, 1998a, 大典通編 上, 下(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2冊
  18. 서울大學校奎章閣, 1998b, 續大典(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504 p
  19. 서울大學校奎章閣, 1998c, 典律通補 上, 下(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2冊
  20. 서울大學校奎章閣, 1999a, 大典會通 上, 下(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2冊
  21. 서울大學校奎章閣, 1999b, 六典條例 上, 下(영인본). 서울大學校奎章閣, 서울, 2冊
  2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8, 국역증보문헌비고 상위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2冊
  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국역서운관지(영인본도 수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328 p
  24. 成周悳, 1818, 書雲觀志(奎 56 00). 觀象監, 漢陽, 4卷 2冊
  25. 양홍진, 박명구, 2003, 천문유초(天文類抄)에 기록된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연구. 한국우주과학회지, 20 (1), 83-94
  26. 유경로, 1989, 서운관지: 권지일 관직.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12-121
  27. 유경로, 1990, 서운관지의 번역, 주 및 해설 2, 관해. 한국 과학사학회지, 12 (1), 120-123
  28. 유경로, 1991, 서운관지의 번역, 주 및 해설 3, 천거, 과시, 취재. 한국과학사학회지, 13 (2), 168-183
  29. 유경로 역주, 1985, 中國의 天文學. 전파과학사, 서울, 246 p
  30.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역주, 1973, 세종장헌대왕실록 권 26 칠정산 (내편) I.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399 p
  31. 유경로, 이은성, 현정준 역주, 1974, 세종장헌대왕실록 권 26 칠정산 (외편) II,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513 p
  32. 윤국일, 홍기문, 김석영 역주, 2000, 역주 경국대전. 여강출판사, 서울, 536 p
  33. 이노국, 2001, 19세기 天文關係書籍의 書誌的 分析: 남병철, 남병길 형제의 저술을 중심으로. 한국서지학회, 22, 123-151
  34. 이면우, 1988, 李純之.金淡 撰 大統曆日通軌 等 6편의 通軌本에 대한 硏究. 한국과학사학회지, 10 (1), 76-87
  35. 이면우, 허윤섭, 박권수 역주, 2003, 서운관지. 소명출판사, 서울, 479 p
  36. 이용범, 1966, 麗代의 僞曆에 對하여. 진단학보, 29/30, 53-64
  37. 이은성, 1988, 曆法의 原理分析. 정음사, 서울, 444 p
  38. 이은희, 1996, 칠정산 내편의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1 p
  39. 이은희, 2007,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서울, 342 p
  40. 이은희, 문중양 역주, 2004, 국조역상고. 소명출판사, 서울, 300 p
  41. 이희재 역, 1994, 한국서지. 일조각, 서울, 922 p
  42. 전상운, 1989, 서운관지: 권지사 서기. 한국과학사학회지, 11 (1), 136-144
  43. 전상운, 2000, 한국과학사. (주)사이언스북스, 서울, 442 p
  44. 조승구, 1998, 朝鮮初期 書雲觀의 機能과 變遷.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p
  45. 中華書局, 1964, 四庫全書總目. 中華書局, 북경, 2冊
  46. 韓國古典國譯委員會 譯註, 1960, 國譯 大典會通. 고려대학교출판부, 서울, 641 p
  47. 韓國科學史學會, 1983, 諸家曆象集.天文類抄. 韓國科學史學會, 서울, 538 p
  48.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譯註經國大典 註譯編. 天豊印刷株式會社, 서울, 225 p
  4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28冊
  50. 허윤섭, 2000, 조선후기 觀象監 天文學 부문의 조직과 업무-18세기 후반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p
  51. Courant, M., 1894, Bibliographie Coreenne. Paris, Ernest Leroux Editeur, 3 volumes
  52. Fang, C., 1969, The Asami library: A descriptive catalogu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4 p
  53. Jeon, S.-W., 1974,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Traditional instruments and techniques. MIT Press, Cambridge, USA, 383 p
  54. Rufus, C.W., 1936, Astronomy in Korea.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5, 1-69
  55.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검색일: 2008. 1. 1.)

피인용 문헌

  1. Study on the Period of the Use of Datong-li in Korea vol.27, pp.1, 2010, https://doi.org/10.5140/JASS.2010.27.1.055
  2.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vol.30, pp.3, 2015, https://doi.org/10.5303/PKAS.2015.30.3.789
  3. CHANGES OF THE COMPILATION INSTITUTION OF KOREAN ASTRONOMICAL ALMANAC AND OF ITS ORGANIZATION AROUND 1900 vol.30, pp.3, 2015, https://doi.org/10.5303/PKAS.2015.30.3.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