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countermeasures of Majority-used Buildings -Centering around Busan Metropolitan City-

다중이용업소의 소방안전관리방안 -부산광역시(사상구, 사하구, 북구)를 중심으로-

  • 이순구 (부산 사하소방서) ;
  • 공하성 (청운대학교 건축설비소방학과) ;
  • 한상용 (동신대학교 대학원 소방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occurrence of fires in heavily populated multiplex buildings is a serious concern. It causes a great threat to many people and a serious social problem. Whenever this kind of fire happens, the authorities are busy preparing partial countermeasures to control the crisis situations. Luckily, the government has enforced a special law regarding safety supervision of majority-used buildings to prepare the basic countermeasures for the buildings' safety. Recently, the multiplex buildings which have multi type compounds have increased in size by getting bigger and bigger. As there are many people who would need to escape and the complicated structures like mazes in buildings of this typ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prevent a fire but also easy to cause a large loss of lives. For a better fire safety supervision of the buildings, there needs to be passers and owners' good sense of safety, fire proof of the buildings and education of the fire authorities.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업소의 실제 화재발생건수는 많지 않으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피해가 많아 사회적문제가 된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 이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대책 마련에 급급하여 온 것이 사실이며, 부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왔다. 다행히도 정부에서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마련코자 $\ulcorner$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lrcorner$을 제정하여 시행중에 있다. 요즘 하나의 건축물에 여러 종류의 다중이용시설이 복합 집적(集積)화 되는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의 형태를 갖추는 업소가 늘고 있다. 또한 다중이용업소 밀집지역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런 형태의 건물은 방화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특정다수의 피난인원이 많고 복잡한 미로형태를 가진 방호공간이 되어 항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출입자의 비상구 위치확인 습관과 소방안전의식 제고, 건물주(영업주)의 자율 방화관리 역량제고, 실내장식물 불연화, 소방 당국의 교육 홍보 제도개선 등 삼위일체식 안전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 1항 제1.4호
  2. 소방방재청, "소방대응 및 행정자료 통계"(2006)
  3. 소방방재청, "소방행정 자료 및 통계"(2007)
  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 주 요내용 설명자료(2006)
  5. 소방방재청, "소방대응 행정 자료 및 통계"(2006)
  6. 박형주, 곽동일,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 식재에 대한 방화.방염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5, No.1, pp.47-5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