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배출되는 폐 유기성슬러지의 열적 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Waste Organic Sludges Discharged from an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 김민철 ((주) 유성 중앙연구소) ;
  • 이강우 ((주) 유성 중앙연구소) ;
  • 이만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산연구센터) ;
  • 손병현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산업단지의 화학제품제조업 및 석유화학제품제조업에서 발생하는 유기성슬러지에 대하여 삼성분, 원소조성, 발열량, 열중량 분석 및 연소시험을 실시하였다. 삼성분 분석 결과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 평균값은 수분함량 75.11, 가연분 17.42, 불연분 7.45%로 나타났으며,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은 수분함량 77.54, 가연분 18.25, 불연분 4.22%로 나타났다. 원소분석 결과 평균값은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 경우 C 33.06, H 4.34, O 24.81, N 5.18, S 0.72wt%로 나타났으며,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의 경우 C 36.58, H 4.74, O 26.79, N 5.09, S 0.49wt%로 나타났다. 열중량분석 결과, B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700^{\circ}C$ 이상에서 그리고 F와 N사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600^{\circ}C$ 정도의 온도에서도 연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소테스트 결과, 산화반응과 동시에 열분해 반응으로 고농도의 일산화탄소가 배출되므로 이로 인한 로의 국부과열이나 파손현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analyze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roximate analysis, ultimate analysis, heating values,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combustion test for the organic sludge discharged from chemical and petro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industrial complex. The average combustible and ash content of organic sludges from chemical and petro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17.42%, 7.45%, and 18.25%, 4.22%, respectively. The C, H, O, N, and S compositions for chemical and petro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33.06, 4.34, 24.81, 5.18, and 0.72%. And those compositions for petro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36.58, 4.74, 26.79, 5.09, and 0.49%, respectively. From the TGA test, the minimum temperature for combustion of the sludge discharged from B company was $700^{\circ}C$ for direct use for energy and 2 sludges(F and N companies) were about $600^{\circ}C$. According to the basic combustion test, high concentration of CO was formed because oxidation and pyrolysis reaction take place in the batch type reactor at the same time. From this phenomena we could obtain the significant data for the overheating and breakage of furnace.

키워드

참고문헌

  1. 환경부, "2006 전국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007.
  2. 환경부, "유기성오니 처리 종합대책", 2006
  3. 한국자원공사 폐기물시설설치실, "국내 폐기물 에너지화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제6회 환경정책 설명회 및 신기술 발표․전시회, pp. 591-605, 2008.
  4. 산업단지공단, 국가산업단지산업동향, 2007.
  5. 환경부, 폐기물공정시험법, 환경부 고시 제2007-151호, 2007.
  6. 손병현, 이주호, 정문헌, 김민철, 고주현, 박흥석, 이강우,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폐 유기성슬러지의 열적 특성-제지업 및 음식료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 1359-1367,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5.1359
  7. 환경부, "저온건조기술에 의한 슬러지 감량화 및 연료화에 관한 연구", 2006.
  8. 김유성, "보조연료가 필요없는 하수 슬러지 자체 소각 방법", 대한환경공학회 98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pp. 653-656, 1998.
  9. 환경부,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하수슬러지 혼합소각 지침", 2007.
  10. 황진우, "하수슬러지성상에 따른 건조-소각을 위한 슬러지 성상분석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283-291, 2002.
  11. 김재호, 최영찬, 이재구, 김기선, 윤오섭, "부분산화에 의한 정유 산업 부산물의 가스화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제18권, 제3호, pp. 294-30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