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d analysis on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using accelerometer

  • 발행 : 2008.12.31

초록

본 연구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정신지체유아 3명과 일반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을 분석하였다. 신체활동량의 계측은 횡축 가속도 최고치, 종축 가속도 최고치, 평균 열발산, 분당 보행 수, 피부 전도도이다. 정신지체유아를 교육하는 기관에서의 놀이활동 시간을 측정한 결과 횡축으로 움직였을 때($2.94{\pm}0.60$)와 종축으로 움직였을 때($4.97{\pm}0.65$) 일반유아들(횡측 종측 각각 $4.50{\pm}0.95$, $6.05{\pm}0.87$)보다 덜 움직이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신체적 일반 특성에서 운동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평균 열발산과 분당보행수, 피부전도도가 일반 유아들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지체유아들의 교육에 있어서 정신지체유아들이 좀 더 흥미를 갖고 활동을 많이 그리고 빨리하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using accelerometer. Six children (three children with retardation and other three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were selected as a subject on this research. And measurement of this research was done with the following items;(1)numpeaks accelerometer transverse; PAT, (2) numpeaks accelerometer longitudinal;PAL, (3)heat flux average original rate; HFA, (4) steps per minute(SPM), (5)GSR averag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hows that they move less that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AT-$2.94{\pm}0.60$, PAL-$4.97{\pm}0.650$,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PAT-$4.50{\pm}0.95$, and PAL-$6.05{\pm}0.87$). This suggests that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lacks physical ability. And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as less compared with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It is concluded that man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have more interest and act fast should be introduced and developed in educating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창모(2005). 우슈 수련자의 신체활동에 따른 생체 신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택츠학회논문집, 5권, pp.230-237.
  2. 민봉기, "치료레크레이션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원자율장학연구집, 2004-2005학년도.
  3. 이관선(2002). "정신지체 유아의 신체활동 중재효과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상복, 이정용, 안민주(2008). 태권도 태극품세의 신체활동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97-707.
  5. GyeHwan Jin, D.W.Kim, T.S. Lee, S.B. Lee(2006). "A Cse Study of Context Awareness fo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World Congress on Medical Phy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Vol. 14.
  6. 강수균․조홍종(2003). 장해이해와 교육. 서울:교육과학사. p.258
  7. 이소현․박은혜(2003). 특수아동교육. 서울:학지사. p.222
  8. 한기정(1996). 특수유아 교육방법. 서울:교육과학사. p.20.
  9. Hurlock, E. B.(1972). Child development<5th ed>, Tokyo: McGrow-Hill L.T.D., pp72.
  10. 금구어린이집. http://cafe.daum.net/kumbu1004 정신지체아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