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help decide until when a library has to hold journal volumes for user efficiency by measuring the value of academic journals to find the frequency of journal use over the elapsed time based on the half-life index-number of literature obsolescence by Burton & Kebler. Four general subjects categories in science was analyzed. (4 detailed subjects in mathematics, 12 in physics, 12 in chemistry, 14 in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result, citation ages are $20{\sim}29$ years in mathematics, $8{\sim}11$ in physics, chemistry, and technology. Average half-life indexes are 11.22 year in mathematics, 7.5 in physics, 8.4 in chemistry, and 8.88 in techn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Burton & Kebler의 문헌이용률 감소법칙을 적용하여 과학기술분야 학술잡지의 이용가능기간 즉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이용확률을 밝혀냄으로써 과학기술분야 잡지의 가치를 측정하고, 도서관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잡지의 무슨 연도, 무슨 권호까지 소장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 연구자들이 1991-2005년(15년간) 동안에 SCI 학술지에 발표한 과학기술분야 논문 126,425편 중에서 인용문헌 2,351,419건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4개 주제(수학 4개, 물리학 12개, 화학 12개, 공학 14개)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용나이는 수학이 20-29년, 물리학, 화학, 공학이 각각 8-11년이었다. 평균 반감기는 수학이 11.22년, 물리학이 7.5년, 화학이 8.4년, 공학이 8.88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