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chool Science

과학 교과에서 학습 동기 전략을 활용한 4E&E 순환학습모형의 개발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is paper suggested a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model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motivational and instructional design. The 4E&E Learning Cycle Model has four phases such as engage, explore, explain and expand, and two subsidiary phases such as evaluate, and feedback provided with at each phase. The model has gone a process of instruction with learning effects evaluation and providing feedback in science classroom, which facilitat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the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motivational learning strategies makes the learners be attractive to and immersed in instruction. This model has potentials in educating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동기 요소를 활용한 4E&E순환학습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모형은 동기설계와 수업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4E&E순환학습모형은 유인(Engage), 탐색(Exlpore), 설명(Explain), 확장(Expand) 등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평가(Evaluate)와 feed-back을 통해 순환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4E&E순환학습 모형은 수업과정 중에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으로 학습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4E&E순환학습 모형은 학습동기유발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어 과학교육에서 매우 효과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0). 학교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 인 분석. 공교육관련 토론회자료집. 교육인적자원부, 발 간번호11-1340400-0000018-01. pp.44-48
  2. 김경희(2002). ARCS전략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수업이 학습동기 유발 및 반응속도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박수경, 김영환, 김상달(1996). 동기 유발을 위한 ARCS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지구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 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29-440
  4. 박수경(1998). ARCS모형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 이 과학개념 획득과 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송상호(1999).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6. 송상호(2002). 동기적으로 적응적인 컴퓨터매개수업 (CMI)설계를 위한 학습동기의 정의ARCS 모델의 재고 찰. 교육공학연구, 14(1), 119-141
  7. 윤치원, 하태경,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5).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의 수준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05-112
  8. 이양락(2008). PISA 2006 과학 성취도 평가 결과. 제5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자 료집, pp74-94
  9. 이재형(2000). ARCS 전략을 적용한 구성주의 수업 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종태(2000). 학교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pp 65-67
  11. 이혜영(2001). 신세대의 등장과 학교(교사)의 문화 지체. KEDI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개발원
  12. 전경문(2003).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 복연구(TIMSS-R)중 화학영역 성취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99-307
  13. 정종진(2002). 학교학습과 동기. 한국학술정보(주)
  14. 조영숙(1996). Keller의 학습 동기화 모형을 적용한 학습 효과의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영남(1998). 구성주의 교수학습.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논총 제12집, 93-120
  16. 최수환(2000). 학습자의 동기 신념 및 자기 조절 학 습전략과 인지 갈등과의 상관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하태경(2005). 중등학생과 과학교사의 동기인식 조 사와 이를 활용한 4E&E 순환 학습 모형의 과학 학습 효과.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0).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 과학 성취결과 국제수준은 어떠한가?. 제3차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결과 발표 세미나 자료집
  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 성취도 평가연구. -과학-. 연구보고 RRE 2001-5-6
  20.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2006). The BSCS 5E Instructional Model : Origins, Effectiveness, & Applications. Executive Report of BSCS
  21. Brooks, J. G., & Brooks, M. G. (1993). The case study for constructivist classroom. Virginia: ASCD
  22. Dick, W. & Carey, L. (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4th Edition. New York: Haper Collins
  23. Eisenkraft, A. (2003) Expanding the 5E Model, The Science Teacher. NSTA. 70(6)
  24.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Keller, J. M. (1979). Motivational and Instructional design: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4), 26-34 https://doi.org/10.1007/BF02904345
  26. Keller, J. M. (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Keller, J. M. (1987). The systematic process of motivational design. Performance & Instruction, 26(9), 1-8
  28. Keller, J. M., & Kopp, T. W. (1987). Application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
  29. Keller, J. M. (1994). Motiv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In T. Husen, & T. N. Postlethwaite(2nd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Oxford: Pergammon Press
  30. Mark, J. V., & Sandra, K. A. (2003). A manuscript submitted to the special issue of Science and Children on Assessment. 40(8), 41-44
  31. Means, T. B., Jonassen, D. H., & Dwyer, F. M (1997). Enhancing relevance: Embedded ARCS strategies vs. purpo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5-18
  32. Reigeluth, C. M. (1983).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0) (7th ed.).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Chapter 15, "Model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Merrill/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 J
  34. Walker, D., & Lambert, L. (1995). Learning and leading theory: A century in the making, The constructivist leader. NY: teachers College Press
  35. Wlodkowski, R. J. (1984). Making sense out of motivation: A systematic model to consolidate motivational construct across theories. Educational Psychologist, 16(2), 101-110 https://doi.org/10.1080/00461528109529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