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Analysis on the Communication Processes Appeared in Coteaching

  • 발행 : 2008.04.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의 교육 실습에 코티칭을 도입하고 코티칭 수업에서 나타난 의사소통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호학적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예비 교사들의 $1{\sim}2$차시 코티칭 수업으로 진행된 7차시 중학교 수업을 관찰하였다. 그런 다음 기호학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었다. 첫째, 한 명의 예비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서 기호 전이 과정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은 경우, 교실에 있는 다른 예비 교사를 통해 기호의 연속적 전이 과정이 완성된 경우이다. 둘째, 한 명의 예비 교사가 잘못된 의미를 지니는 해석체를 사용하여 미흡하게 설명한 부분을 다른 예비 교사가 새로운 해석체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기존에 형성한 해석체를 수정하고 대상의 이해에 이를 수 있도록 도와준 경우이다. 셋째, 두 예비 교사가 사전에 계획한 해석체의 전이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도운 경우이다. 코티칭은 우리나라 과학 수업 현장에서 진행되던 의사소통 과정에 보다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coteaching to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student-teachers and identif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es appeared in coteaching. We developed the semiotic analyzing-frame and observed 7 classes of middle schools where the student-teachers cotaught one or two units. Then we analyzed the communication processes on the view of semiotics. We found three pattern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es. First, when there was a dis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teacher and the students, the communication was restarted by the other student-teacher leading to the complete meaning making. Second, when an insufficient communication took place by the student-teacher using inadequate interpretant, the other student-teacher modified the communication by selecting another interpretant including sufficient meaning towards the object. With this new interpretant, students could refine the imperfect private meanings and eventually establish the more objective meanings. Third, the communication was pre-planned between coteacher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s through the successful translation of interpretants. Coteaching provided posit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processes in science lesson.

키워드

참고문헌

  1. 노태희, 윤미숙, 강훈식, 한재영(2007). 중학교 3학 년 과학 교과서에서 원자 및 분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 자료의 기호학적 분석. 대한화학회지, 51(5), 423-432 https://doi.org/10.5012/jkcs.2007.51.5.423
  2. 민병위(2001). 기호의 '의미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I) (퍼어스계의 기호론자들) -기호의 '외연과 내포'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14, 37-56
  3. 성숙경, 최병순(2007). 과학 실험에서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연구. 대한화학회지, 51(4), 375-386 https://doi.org/10.5012/jkcs.2007.51.4.375
  4. 소연희(2006). 효과적인 교실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18(1), 1-22
  5. 정은영, 홍미영(2004). 초등학교 과학과 실험 및 관찰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수업의 문제점: 도시 지역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3(4), 287-296
  6. 조창연(2002). 디지털 시대의 제품 의미 생성 작용에 대한 광고 기호학적 접근-소쉬르와 퍼스의 기호학과 그 관점을 넘어서. 한국기호학회, 12, 244-285
  7.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8. 한재영(2005). 코티칭(coteaching): 새로운 교육실습 방식. 교육연구논총, 26(3), 49-69
  9. Griffiths, A. K., & Preston, K. R. (1992). Grade-12 students' misconceptions relating to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atoms and molecul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6), 611-628 https://doi.org/10.1002/tea.3660290609
  10. Guba, E., & Lincoln, Y.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Beverly Hills, CA: Sage
  11.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Mortimer, E., & Scott, P.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Maidenhead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13. Pierce, C. S. (1931-1958). Collected paper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4. Roth, W.-M., & Tobin, K. (2001). The implications of coteaching/cogenerative dialogue for teacher evaluation: Learn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of everyday practice.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15, 7-29 https://doi.org/10.1023/A:1011100117706
  15. Roth, W.-M., Tobin, K., Carambo, C., & Dalland, C. (2004). Coteaching: Creating resources for learning and learning to teach chemistry in urban high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882-904 https://doi.org/10.1002/tea.20030
  16. Roth, W.-M., Tobin, K., Carambo, C., & Dalland, C. (2005). Coordination in Coteaching: Producing Alignment in Real Time. Science Education, 89(4), 675-702 https://doi.org/10.1002/sce.20055
  17. Saenz-Ludlow, A. (2006). Classroom interpreting games with an illustr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1, 183-218 https://doi.org/10.1007/s10649-006-576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