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 and Body Dissatisfaction in Adolescent in Ulsan

울산지역 초, 중, 고등학생들의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 및 불만족도에 대한 조사

  • 홍찬의 (울산동강병원 소아청소년과) ;
  • 홍성완 (울산동강병원 소아청소년과) ;
  • 정철주 (울산동강병원 소아청소년과) ;
  • 이동진 (울산동강병원 소아청소년과) ;
  • 최광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Background : In this study, we examined body image percep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weight and h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age and body mass index. Additionally, we compared our findings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concerning eating disorders. Materials and Methods : In July and August 2008, 1,501 students were sampled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Ulsan and assessed using self-completion questionnaires.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Attitude Test-26 (EAT-26) to screen for eating risk groups. Participants were stratified by grade, gender, and body mass index. Results : 1) Dissatisfaction with height, weight, and body image was greater in the older group. 2) Dissatisfaction with weight and body image was greater in the heavier group. 3) EAT-26 scor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at high risk for eating disorders were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Conclusion : The EAT-26 score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those found in previous Western studies. 2) There were a number of high-risk individuals in the female group, with a tendency toward earlier presentation.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and prevention programs are required.

배경 : 울산 지역 청소년에서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이나 만족도, 식이장애 여부를 평가 하였다. 방법 : 2008년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울산동 강병원을 방문한 울산지역의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총 1,50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EAT-26와 체형 불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성별과 학년, 체질량지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1) 학년이 증가할수록 남녀모두 키와 몸무게, 체형에 대한 불만족도가 증가하였다. 2)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남녀모두 몸무게와 체형에 대한 불만족도가 증가하였다. 3) EAT-26점수와 식이 장애 고위험군의 비율이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결론 : 여자에서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불만족의 비율이 높고 자신을 뚱뚱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식이 장애 고위험군이 여자에게서 어린 나이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식이장애 고위험군의 조기 발견 및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