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and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Urban Stream Ecosystems

도심하천 생태계에서의 수질 및 생태건강성 평가

  • Kim, Hyun-Mac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Ho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chemical water quality and physical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urban streams (Miho and Gap streams) along with evaluations of fish community structures and ecosystem health, throughout fish composition and guild analyses during 2006$\sim$2007. Concentrations of BOD and COD averaged 3.5 and 5.7 mg L$^{-1}$, in the urban streams, while TN and TP averaged 5.1 mg L$^{-1}$ and 274 ${\mu}g$ L$^{-1}$, indicating an eutrophic state. Especially, organic pollution and eutrophication were most intense in the downstream reach of both streams. Total number of fish was 34 species in the both streams,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32$\sim$42% of the total). In both streams, the relative abundance of sensitive species was low (23%) and tolerant and omnivores were high (45%, 52%), indicating an typical tolerance and trophic guilds of urban streams in Korea. According to multi-metric models of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SEHA), model values were 19 and 24 in Miho Stream and Gap Stream, respectively. Habitat analysis showed that QHEI (Qulat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s were 123 and 135 in the two streams, respectively. The minimum values in the SEHA and QHEI were observed in the both downstreams, and this was mainly attributed to chemical pollutions, as shown i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model values of SEHA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conductivity (r=-0.530, p=0.016), BOD (r=-0.578, p< 0.01), COD (r=-0.603, p< 0.01), and nutrients (TN, TP: r>0.40, p<0.05). This model applied in this study seems to be a useful tool, which could reflect the 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urban stream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istent ecological monitoring is required in the urban streams for the conservations along with ecological restorations in the degradated downstrems.

본 연구에서는 2006$\sim$2007년 동안 도심하천인 미호천과 갑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어종 분포 및 길드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및 생태건강도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전형적인 두 도심하천의 BOD, COD농도는 각각 평균 3.5 mg L$^{-1}$, 5.7 mg L$^{-1}$였고, 총질소(TN)및 총인(TP)의 농도는 각각 5.1 mg L$^{-1}$, 274 ${\mu}g$ L$^{-1}$로서 이미 부영양 상태로 판정되었으며, 특히 갑천하류 지점에서는 유기물 오염 및 부영양화 현상이 뚜렷했다. 두 도심하천에서 총 종수는 34종으로서 동일하게 나타났고, 내성종 및 잡식종인 피라미(Zacco platypus)는 가장 높은 상대 풍부도(32$\sim$42%)를 보였다. 두하천에서 민감종의 비율(23%)은 낮은 반면 내성종과 잡식종의 비율(45%, 52%)은 높게 나타나 도심하천에서의 전형적인 길드 변화 현상이 확연히 나타났다. 하천생태건강도 평가(SEHA)에 따르면, 두 하천에서 다변수 모델값은 각각 19,24로서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서식지 평가 분석 (QHEI)에서는 미호천 123, 갑천 135로서 보통$\sim$양호 상태를 보였으며, 수질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최하류(특히, 갑천)에서는 극명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갑천 하류의 낮은 건강도 평가모델값(20)은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나온 배출수의 화학적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런 다변수 모델 값은 전기전도도(r=-0.530, p=0.016), BOD (r=-0.578, p< 0.01), COD (r=-0.603, p< 0.01), 영양염류(TN, TP: r>0.40, p<0.05)와 같은 수질변수들과 높은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생태건강도 모델값이 수질 특성을 잘 반영하는 객관성 있는 평가기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런 도심하천의 하류부에서는 생태계 보존을 위해 향후 하천복원 및 지속적인 생태모니터링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2. 김정수, 구태회. 2002. 양재천에서 생태적 복원구간과 비복원구간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비교.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11
  3. 노준우, 이상욱. 2007. 오염총량제를 고려한 미호천의 장래 수질예측.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2007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70
  4. 노준우, 이상진, 이상욱. 2008. GIS를 이용한 미호천의 장래 수질예측.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13-21
  5. 류재홍, 이두곤. 2007. 미호천의 물환경 탐구-TOC-를 중심으로 한 수질 모니터링. 한국물환경학회지. 23:731-739
  6. 박재로, 이효범, 김은주. 2003. 대전천 유지유량 확보를 위한 방안 검토. 한국물환경학회, 대한상수도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C-11
  7. 서미진, 서동일, 이용성, 윤진호. 2007. 행정중심 복합도시(세종시)가 금강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2007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106
  8. 서울특별시. 2004. 청계천 복원사업. 환경백서
  9. 손명원. 1998. 도시하천의 생태학적 역할과 개선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4:15-25
  10. 손영목. 1983. 미호천의 담수어류상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6:13-20
  11. 손영목. 1991. 충청북도 담수어류.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논총. 5:1-38
  12. 손영목, 변화근. 2005.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7:271-278
  13. 신정이. 1999. 자연형 하천 공법 적용후의 식생변화분석 -서울시 양재천의 학여울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10-17
  14. 신진철. 2002. 전주천, 1950년대로 역류하다 -전주천 자연형 하천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53:98-103
  15.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61-371
  16. 안광국, 김자현, 배대열, 이재연. 2006. 생태 지표종을 이용한 해부학적 건강성 평가지수(HAI)적용을 위한 예비실험. 한국육수학회지. 39:62-72
  17.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19:261-269
  18.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한국육수학회지. 38:341-351
  19.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lat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153-165
  20. 안광국, 최지웅. 2006. 초강의 통합적 생태건강성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320-330
  21. 우원재, 정동양. 1998. 수변식재에 따른 갑천의 수위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3-17
  22. 이충렬. 2001. 갑천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환경생물. 19:292-301
  23. 전용호, 김재구, 김철구. 2007. 수생태 복원사업의 현황과 향후전망. 환경연구논문집. 4:23-29
  24. 정영훈, 이충성, 김형수, 심명필. 2005. 갑천 유역의 빈도별 갈수유량에 따른 필요유량 산정. 대한토목학회지. 25:97-105
  25. 최미희. 2005. 하천복원사업 평가기준의 과제. 한국영양평가학회지. 1:13-22
  26. 최병문. 1977. 충북산 담수어에 관한 연구. 충주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논문. 2:41-59
  27.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최의용, 서진원. 2005.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8:297-303
  28. 홍영표. 1994. 자연환경기본계획; 담수어류. 대전직할시
  29. 홍영표. 2004. 멸죵위기종 미호종개의 현황 및 보존. 한국어류학회 2004년 추계학술발표대회 심포지움 발표요약집. pp. 59-75
  30. 환경부. 2004. 2005예산안 주요사업 설명자료. 2004, 9
  31.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III):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32.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Second Edition.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33.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34.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
  35.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Columbus, Ohio, USA
  36.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37.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Gross SK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 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38.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39.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