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Alteration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and Glycoconjugates in the Ankle Joint of Complete Freund's Adjuvant-injected Rats

전침이 Complete Freund's Adjuvant를 주사한 흰쥐의 거퇴관절내 염증관련 단백질 및 복합당질 변화에 미치는 연구

  • Park, In-Bum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Yoon, Hyun-Mi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Jang, Kyung-Ju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Cheol-Ho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Min, Young-Kwa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Song, Choon-Ho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Ahn, Chang-Beohm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박인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윤현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장경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김철홍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민영광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송춘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 안창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 Published : 2008.04.20

Abstract

목적 :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전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유발 관절염 모델의 거퇴 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 및 복합당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의 족부에 CFA를 주사한 다음 3일 간격으로 2Hz, 15Hz 및 120Hz 전침자극을 주며 부종 형성여부를 plethysmometer로 측정하여 판정하였으며 30일째 거퇴관절을 취하여 4% paraformaldehyde에 고정하고 EDTA용액에서 탈회시켜 파라핀연속 절편을 얻어 $NF-{\kappa}B$를 비롯한 5종의 염증관련 단백질의 발현 및 복합당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 관절연골 내 면역반응 중 연골기질은 반응이 없거나 약하고 연골세포는 $NF-{\kappa}Bp65$, $I-{\kappa}B{\alpha}$, iNOS 반응이 강하며 특히 유리연골층에서 더 현저하였으나 염증 및 전침자극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관절낭에서 면역반응을 살펴보면 염증유발시 활액세포의 면역반응세포는 $I-{\kappa}B{\alpha}$가 감소한 반면 iNOS, $IL-1{\beta}$는 증가하며 특히 iNOS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전침자극에 의해 iNOS 가 감소하였다. 활액막조직에서 모든 면역반응이 증가하며 특히 $NF-{\kappa}Bp65$, $I-{\kappa}B{\alpha}$, iNOS 반응이 현저한데 전침자극에 의해 $IL-1{\beta}$를 제외한 모든 반응이 감소하였다. 복합당질 염색성은 CFA를 주사한 염증유발 흰쥐군이 정상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관절연골 중 구역간질의 중성복합당질 및 연골세포피막의 산성복합당질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Lectin반응도 DBA을 제외한 모든 발현이 염증유발시 감소하였다. 그러나 전침처리에 의해 정상군과 유사한 염색성과 lectin반응을 유지하였다. 특히 구역간질의 중성복합당질과 연골세포의 sWGA와 RCA-1 반응이 현저하였다. 결론 : 만성 염증성 동물모델의 거퇴 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은 관절연골보다 관절낭에서, 복합당질의 변화는 관절연골에서 큰 변화를 보였으며 전침의 자극에 의해 이들 변화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전침처치는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및 복합당질의 변화 억제를 통해 만성 관절염 질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