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 BcN 기반구축 사업타당성 분석

An Analysis of BcN Feasibility of Area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 정우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전략연구본부)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논문은 정부의 광대역통합망(BcN) 구축의 일환으로서 농어촌지역의 BcN 기반구축 사업의 타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업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새로운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설문을 활용한 AHP 기법을 사용하여 사업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적합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계층화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BcN 사업타당성을 평가하도록 한다. 그 결과 주요 타당성 지표로서 경제적 타당성, 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등이 BcN 사업타당성 지표로 도출되었으며, 평가기준으로 이해되었다. 연구결과 사업시행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비일관성지수는 0.0566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BcN 구축사업이 국민의 생활개선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BcN 사업을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area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as the link of the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build-up. For the project feasibility analysis, we utilized the questionnaire of experts and drew the new index of evaluation. By using the AHP technique,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by reviewing precedent papers and references, it drew proper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ed BcN feasibility using AHP; economic feasibility, technological feasibility and policy feasibility were figured out as main criteria and resulted evaluation criteria for BcN feasibility. As a result, we found the business enforcement was exposed to be apposite and inconsistency index showing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was showed up lowly as 0.0566. Afterward, the BcN business of construction contribute to the living improvement of a nation. Moreover, there will be a value as the basic materials for reasonably propelling the BcN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길곤, 이경전, "AHP에서의 응답일관성 모수의 통계적 특성과 활용방안",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6권, 제4호, pp.71-82, 2001
  2. 권민영, 구본재, 이국희, "AHP 기법을 적용한 IT 프로젝트 사전타당성 평가항목의 가중치 산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 8권 1호, pp.265-285, 2006
  3.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조사, 홈페이지, 2007
  4. 김기환, "정보화사업타당성분석 제도의 개선 방향 모색, 공공분야 타당성 분석제도들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2권1호, pp.59-77, 2005
  5. 김상훈, 최점기, "AHP 기법을 이용한 정보화 지원사업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별 가중치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23-140, 2007
  6. 박노국, 문희영, 송문익, "품질기능전개와 AHP 기법을 이용한 기능평가", 한국품질관리학회, 품질관리학회지, pp.85-92, 1993
  7. 박정우 외,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사전기획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8. 이창균, 서정섭, "지방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제도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4권 3호, 2004
  9. 인터젠컨설팅, e-비즈니스와 산업정보화관련 사업의 분류체계 개선을 통한 평가제도 개선방안연구, 인터젠컨설팅, 2004
  10. 충북과학대학,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추진 전략연구, 한국전산원, 2005
  11.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 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연구, 제3판,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01
  1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디지털 액터 제작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보고서, 과학기술혁신본부, 2006
  13. Han, Kyung Ahe, "A Study of Potential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Nursing; Predicting the Future of Nursing Education in the U.S.", 대한간호학회, 제16권 제1호, pp.89-104, 1986
  14. Harker, P., "The Art and Science of Decision Mak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B. L. Golden, E. A. Wasil and P. T. Harker,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ringer-Verlag Berlin-Heideberg, 1989
  15. Satty, 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 Hill, 1980
  16. Satty, T.L.,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EM-30, No.3., pp.140-155, 1983 https://doi.org/10.1109/TEM.1983.6448606
  17. Satty, T.L.,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48, pp.9-26, 1990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
  18. Satty, 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RWS Publication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