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easuring the Surface Contamination for Patient's Clothes and Bedclothes after Ablation Therapy

방사성옥소 치료환자의 환의 및 침구류에 대한 표면오염 측정에 관한 고찰

  • Moon, Jae-Se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Park, Dae-S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Kim, Su-K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 Jeong, Hee-I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t vincent'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 문재승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 핵의학과) ;
  • 박대성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 핵의학과) ;
  • 김수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 핵의학과) ;
  • 정희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07.10.15
  • Accepted : 2007.10.30
  • Published : 2008.05.11

Abstract

Purpose: Contaminated clothes and bedclothes of patients by mouth or with excrement are produced after Radioisotope $^{131}I$ treatment. In this paper, patient's clothes and bedclothes contaminated by radioactivity measured and radioactive waste wish to calculate optimum storage period. Material and Methods: The whole area of patients' clothes and bedclothes measured 70 patients, 12 males and 58 females, who had radioisotope $^{131}I$ therapy between August 2005 and February 2006. Assuming contamination is evenly distributed, the radioscope used to measure up to social toleration level at 7 day intervals. Results: Each optimum storage period of control group of 60 case and non control group of 10 case were average $44{\pm}16$ days and $32{\pm}13$ days. Decontamination effect of surface contamination for radioactive waste was average $83.66{\pm}15.15%$. Conclusion: It is important that classify radioactive waste according to difference of surface contamination. Result of this research, handling radioactive waste in optimum storage period may be useful.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시 환자의 배설물(침, 소변)을 통해 표면 오염된 환의 및 침구류를 방사선 측정기로 측정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적정보관기간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도 8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환자 70명(남자: 12명, 여자: 58명)이 사용한 환의 및 침구류를 대조군(60 case)과 비대조군(10 case)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결과: 세탁하지 않고 자체보관한 대조군과 세탁 후 자체 보관한 비대조군의 적정보관기간은 대조군 $44{\pm}16$일, 비대조군 $32{\pm}13$일으로 대조군과 비대조군의 보관기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환의 및 침구류에 대한 세탁전후의 표면오염도 제염효과는 평균 $83.66{\pm}15.15%$로 나타났으며, 오염 확산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 된 결과에서 최초 표면오염 되지 않았던 환의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였다(p<0.05). 그러나 세탁과정 중에 발생된 세탁폐액에 대한 오염도는 최초 표면오염의 정도에 따라 허용표면 오염도 수준을 벗어난 것도 있었다. 결론: 표면 오염된 환의 및 침구류 전체를 방사선 측정기로 측정한 후 표면오염도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적정 보관 기간이후 관리구역 밖으로 불출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