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effects by construction of sewer systems in Nam River Basin

남강 상류유역의 하수도시설 확충으로 인한 하류 수계의 수질개선 효과 분석

  • 주진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이정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김응석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Effects of establishments of more sewer systems on water quality in Nam River, Deokchun River, and Jinyang Lake were analyzed for various scenarios using QUAL2E, WASP 7 water quality model. Three different scenarios were tested: 1) 20.8% of sewer diffusion rate which is same to the existing condition. 2) Expansion of sewer system to 65.2% which would emit less pollutants, BOD 2350.5 kg/d, TN 216.0 kg/d, TP 44.0kg/d. 3) Pollutants emission to maintain first grade water quality in Nam River, Jinyang Lake, BOD and TN in the case 2 were 7.69%, 2.10% lower than those in the case 1 in the Nam River. And in the Jinyang Lake, BOD, TN, and TP in the case 2 were 10.25%, 1.37%, 2.94% lower than those in the case 1. However the simulations showed that water quality could not hold down first grade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with the establishments of more sewer systems. To satisfy the criteria in the Nam River and Jinyang Lake, BOD emission must be reduced 27.2%, 37.05% compared to those in the case 1.

남강 상류에 하수도 시설의 보급률을 현행 20.8%에서 65.2%로 향상시켰을 경우 남강과 덕천강 그리고 진양호의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QUAL2E 모형과 WASP 7 모형을 이용하여 목표연도인 2011년의 BOD, TN, TP의 농도를 모의하였다. 수질 예측시나리오는 3가지로 구분하였다. 1) 하수도 시설이 현재와 같을 경우, 2)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BOD, TN, TP가 각각 사업 목표 저감량인 2350.5kg/d, 216.0kg/d, 44.0kg/d 저감되었을 경우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3) 남강과 진양호가 1급수가 되기 위해 저감해야 할 오염물 배출량을 모의하였다. 수질 모의 결과 남강 상류에서 하수도 보급률을 향상시켰을 경우 하천의 수질은 평균적으로 BOD 7.69%, TN 2.10%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양호의 수질은 BOD 10.25%, TN 1.37%, TP 2.94%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남강과 진양호의 수질을 1급수로 유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남강과 진양호를 1급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BOD의 배출량을 각각 27.2%, 37.05% 감소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송교욱, "낙동강 수계 수질관리를 위한 모델링", 부산수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C용 하천 수질관리 모델의 개발", 1987.
  3. 노준우, 김수전, 김정곤, 고익환, "금강수계 오염총량 관리를 고려한 저수지 방류량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9권 제7호, pp. 627-636, 2006.
  4. 서동일, 이종현, 이은형, 고익환, "QUAL2E를 이용한 금강 하류의 수질 모델링 및 오차 원인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제26권 제8호, pp. 933-940, 2004.
  5. 오경두, 전병호, 이홍근, 백도현, "북한강 수역 수질 관리를 위한 QUAL2E 모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6권 제2-3호, pp209-217, 1996.
  6. 채수권, 민선홍, 김성태, 김건홍, "GIS기반의 QUAL2E 모형을 이용한 하천오염 평가", 환경관리학회지, 제9권 제1호, pp115-125, 2003.
  7. 형섭, 박태주, 허종수, "남강의 수질예측을 위한 QUAL2E 모델 적용", 한국환경농학회지, 제14권 제1 호, pp7-14, 1995.
  8. 신재기, 임창수, "금강 중하류에서의 수질모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3권 제2호, pp 145-157, 2000.
  9. 이은형, 서동일,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금강의 수질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5권 제5호, pp525-539, 2002. https://doi.org/10.3741/JKWRA.2002.35.5.525
  10. 김진호, 신동석, 권순국, "미계측 유역관리를 위한 WASP5 모형의 개선 및 적용성 검토",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9권 제1호, pp29-36, 2007. https://doi.org/10.5532/KJAFM.2007.9.1.029
  11. 안승섭, 서명준, 박노삼, 정광옥, "수질예측을 위한 WASP7 모형 매개변수의 추정",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5호, pp625-632, 2007. https://doi.org/10.5322/JES.2007.16.5.623
  12. 정팔진, 고홍석, 현미희, 이은주, "WASP 5 & WASP builder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수질 관리", 한국물환경학회지, 제20권 제5호, pp422-431, 2004
  13. 경상남도, "경상남도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2005.
  14. 환경관리공단, "남강댐 상류 하수도시설 확충사업 유량 및 수질조사 보고서", 2004.
  15. 한국수자원관리 종합정보 홈페이지 (http://www.wam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