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 in School Libraries

  • 발행 : 2008.06.30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IC 도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C 개념을 응용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IC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도입 모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IC 구성요소 도출 및 IC 도입 모형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IC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를 학습공간, 제작공간, 커뮤니티공간, 서비스 데스크로, 인적 요소는 사서교사, 정보기술자, 학생도우미로, 서비스 요소는 정보활용교육과 협력적 통합서비스로 세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IC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IC 서비스 개념도, IC 도입모형, IC 평면도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introduce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IC) into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help them Perform their roles required to satisfy new types of their users' demands. It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of IC to draw the IC elements applicable to school libraries and propose a feasible model for them. The main objects of this study are school libraries and Information Commons. In particular, this study brings the derivation of IC elements and the construction of an IC model for school libraries into focus. This study sorted the three factors by peculiarities of school libraries. Each classification is as follows: physical elements were divided into learning space, creation space, community space, and service counters; human resources were divided into teacher-librarian. IT engineers, and student assistants; and services were divided into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and integrated, collaborative services. Based upon the derived IC constituents, it proposed a diagram that outlines the IC services concept for school libraries, an IC model and an IC floor plan for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영순. 2006. 교사 교육에서 접근한 중등 과학 수업 실태 분석 연구. 열린교육연구, 14 (1): 215-232.
  2. 교육인적자원부. 2003. 학교도서관 운영편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정보화 백서.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 국립중앙도서관. 2007. 국립디지털도서관 공간 전략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문선희. 2005. 함께 참여해서 더 즐거운 수준별 사회학습. 교실수업개선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인천: 인천광역사교육과학연구원.
  6. 이병기. 2002.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규모별 모형에 관한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49-67.
  7. 이연옥. 2007. 고등학생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8(1): 107-134.
  8. 이춘실. 2006. 대학도서관 리모델링의 방향: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의 증축 및 리노베이션. 2006 대학 e-Campus대회. 2006. 6.21-22, 부산 BEXCO,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2005. 교실수업 개선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인천: 동연구원.
  10. 인화여자중학교. 2007. 학교도서관 운영 활성화 정책연구학교 보고서. 인천: 인천광역시교육청.
  11. 임실고등학교, 2007. 수학과 ICT 활용 교육 연구학교 보고서 : 수학과 ICT활용 교수 . 학습 과정안 개발. 적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임실: 임실고등학교.
  12. 정옥진. 2005.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 가톨릭계 중학교를 중심으로. 대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8 (1): 67 -87.
  14. 조우연. 2005. e-learning 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우리 역사 바로 알기, 교실수업개선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인천: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15. 한국도서관협회 편.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Albanese, Andrew Richard. 2004. "Campus Library 2.0." Library Journal, 129(7): 30-33.
  17. Bailey, Russell & Barbara Tierney. 2002. "Information Commons Redux: Concept, Evolution, and Transcend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8(5): 277-286. https://doi.org/10.1016/S0099-1333(02)00319-1
  18. Beagle, Donald. 2006. The Information Commons Handbook. New York. Neal-Schuman Publishing
  19. Beagle, Donald. 1999. "Conceptualizing information comm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2): 82-89. https://doi.org/10.1016/S0099-1333(99)80003-2
  20. Buckland, Michael. 1992. Redesigning Library Service. Chicago: Malloy Lithograhiong, Inc.
  21. Cowgill, AIlison & Joan Beam & Lindsey Wess. 2001. "Implementing an Information Commons in a University Librar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6): 432-439. https://doi.org/10.1016/S0099-1333(01)00257-9
  22. ICWG. ALA, Odober 11, 2006. Document ID: 221234
  23. Lancaster, F. Wilfrid & Amy J. Warner. 1993. Information retrieval today, Virginia, Information Resources Press.
  24. Mac Whinnie, Laurie A. 2003. "The Information Commons: The academic library of the future."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3(2): 241-257. https://doi.org/10.1353/pla.2003.0040
  25. Markoff, John & Edward Wyatt. 2004. "Google is adding major libraries to its database." New York Times. 14: sec. A.
  26. McKean, Erin. 2005. The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Ranganathan, S. R. 1963. The Five laws of library science. Bombay, India. Asia Publishing House.
  28. The new encyclopedia Britannica: macropaedia. 1982. v.3. Chicago: Encyclopaedia Britannica.
  29. Whitchurch, Michael J. & C. Jeffrey Belliston & William Baer. 2006. "Information commons at Brigharn Young University: past, present and future." Reference Services Review, 34(2): 261-278. https://doi.org/10.1108/00907320610669498
  30. White, Peggy & Susan Beatty & Darlene Warren. 2004. Information Commons. In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w York: Marcel Dekker.
  31. Wikipedia. [cited 2007. 8. 5].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of Korea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