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경쟁력 및 업무역량 분석 - 해외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

Competency Assessment of Korean Construction Firms on International Plant Projects

  • 발행 : 2008.08.31

초록

최근 해외건설은 외부환경에 의해 급속도로 수주량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 건설기업들의 높은 수주량이 해외시장의 확대 등 외부요건에 의해 발생된 것이고 내부역량이 높아진 것이 아니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지속적인 수익률을 위해서는 외부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을 받는 전략 수립과 함께 효율성 있는 업무 체계를 갖추는 등 기업 내부의 경쟁력 강화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건설기업의 경쟁력을 플랜트사업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해외건설에 외부 요인인 환율 변동과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은 타 산업에 비해 타격이 크지는 않지만 점차 악화되고 있는 등 국내 주요 건설기 업들의 수익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수익률을 위한 기업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설기업 내의 주요 기능별 업무를 국내사와 선진사와의 상대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기업들이 향후 가져가야 할 중점 강화 역량으로는 설계업무 그리고 전략적 강화역량으로는 사업기획, 사업개발 및 영업, 외주관리, 원가관리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들은 향후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건설기업의 입장에서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st decade, Korea's export scale has resulted in remarkably increasing tendency, and the Korean construction firms(KCFs)' activities on the global markets also have been revitaliz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oversee market conditions and firms' competitiveness focused on plant busines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nal competency change of the KCFs on the global markets in the past 5 years and to find gap of internal competencies between KCFs and outstanding foreign firms. From a survey analysis this paper found that the external impacts on the global markets(changes of exchange rates, raw materials prices, supply-demand conditions, etc.) have highly influenced the sales amount of the KCFs. But the impacts to change the operating profit have been analyzed as not important. So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KCF's internal competencies rater than expecting an improvement of the external conditions. Also, the KCFs should strengthen the design engineering as a core competency.

키워드

참고문헌

  1. 성균관대학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기술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설기술 수준지표 개발 및 기술예측' 건설교통부, 2004
  2. 해외건설협회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계 플랜트.엔지니어링 시장동향과 선진기업의 기술개발 실태 및 수주전략', 건설교통부, 2006. 12, pp.15-18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외건설 선진국 도약을 위한 제도적 기반구축 방안', 건설교통부, 2006. 12, p.1
  4. 산업연구원,' 2010년 플랜트 수주 3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플랜트 수출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2004. 8. 30, p.107
  5.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기업경쟁력 재검검' CEO Information 611호, 2007. 7. 4, p.6
  6. 한국플랜트산업협회, 아서디리틀, 매일경제TV, 'G5 대한민국 플랜트 강국 보고서', 라이트북닷컴, 2007